-
네이버 메일은 보낸메일함에서 상대방이 메일은 수신 했는지, 읽었는지 읽지 않았는지 확인이 되지만, 지메일(g메일)의 경우에는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g메일이 확실히 네이버 메일보다 업무용으로 쓰기에 편한 점들이 존재하지만 확실한 단점들이 몇가지 존재합니다.
일단 메일이 빠르게 날아가지 않는다는 점인데 메일을 보내고 나면 네이버 메일은 정말 1초만에 온다는 느낌이라면 지메일은 물한잔 마시고 화장실 다녀와야 메일이 오는 느낌정도 입니다.
또한 지금 작성하는 것 처럼 수신 확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 인데요. 우리나라 것들이 별로라고 얘기하지만 이런 점을 본다면 편의성이나 스피드면에서는 단연코 앞선다고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pc에서 등록을 해두면 구글계정 단위로 적용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모바일까지 한꺼번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g메일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프로그램을 추가해서 계정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크롬 우측 상단의 메뉴버튼을 눌러 도구 더보기-확장 프로그램으로 갑니다.
좌측상단에 있는 확장 프로그램 메뉴 버튼을 눌러줍니다.
휑해보이기까지 하는 메뉴가 뜨는데 가장 밑에 구글 웹 스토어 열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검색창에 streak for gmail을 검색해서 나오는 Streak CRM for Gmail 프로그램을 Chrome에 추가 버튼을 눌러 추가합니다.
추가만으로 적용된 것이 아니라 아직 몇단계를 더 거쳐야 합니다.
지메일로 들어가서 보낸편지함을 누르고 잠시 기다립니다.
아까 설치했던 확장프로그램을 계정에 적용하는 과정이 뜹니다. 계속 버튼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구글에 로그인 되어 있는 계정중에 선택하거나 다른 계정을 로그인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에 계정을 골랐다면 보낸편지함 밑으로 아까는 뜨지 않았던 모든 추적된 메일이라는 탭이 나옵니다. 기존에 보냈던 메일은 확인이 불가능 한 것 같으며 설치 이후에 보낸 메일에 대해서 수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추적된 메일함을 눌렀을 때 여러가지 선택창이 뜨는데 가장 위에걸로 모두 선택해도 상관없지만, 어떤것인지 쉬운 영단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천천히 읽으면서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메일함에 있는 초록색 체크표시 혹은 회색눈 모양이 초록색으로 불이 들어와있다면 상대방이 수신을 한 상태라는 표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