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검색은 편한데 그 외에 모든 설정들이 정말 불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편했던 것도 더 불편하게 만들어 버리는 이 마법같은 일이 벌어지고 말았네요.
예전에는 설정 들어가면 검색기록 저장 안하는 기능이 있었는데 이제는 검색기록 삭제는 가능하지만 끄는 방법은 아예 없애버렸습니다. 왜 그렇게 했느냐? 아마 생각하기로는 빅 데이터를 만들거나 개인에게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 수집을 위해 해둔게 아닌가 싶습니다.
여기저기 검색해봐도 삭제 하는 방법만 나오고 진짜로 구글 검색기록 끄기에 관해서는 나오지 않아서 직접 찾아봤습니다. 약간의 편법이 포함되어 있지만 결과물은 훌륭하게 나왔기 때문에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거 정말 신경쓰여 하는 사람들은 이러다가 구글 사용하는게 꺼려질 정도네요. 하나하나 검색할 때 마다 바로바로 삭제하지 않는 이상에서야 쌓이는 속도가 장난이 아닐테니까요.
에이 다른데랑 똑같네 하지 마시고 일단 활동제어부터 해야하니 시작부터 끄는법까지 pc와 모바일 나눌 부분은 나누고 통합적인 부분은 합쳐서 설명 할테니 천천히 따라서 해 보시길.
만약 이미 각종 활동제어를 모두 off했다면 밑으로 쭉 내려가시면 됩니다.
먼저 pc와 모바일 통합적으로 활동제어부터 해줘야 합니다. 계정을 기준으로 먹히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 해도 상관 없습니다. 저 네모난 점 9개가 찍혀서 사각형을 이루는 메뉴버튼을 눌러 Google 계정으로 들어갑니다.
수많은 창들 중에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 보호를 찾아서 3번째에 있는 나의 Google 활동 관리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우측에 보면 활동제어에 관한게 있습니다. 보통 블로그들이 여기까지만 설명해놓고 꺼진 것 마냥 얘기를 하죠. 근데 절대로 안꺼집니다.
일단 몽땅 끕니다. 꼭 필요하다 싶은건 읽어보고 살려두셔도 되는데 중요한건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꼼꼼히 살펴보시면서 하나하나 체크 해나가시는게 좋겠네요.
활동제어가 끝났다면 여기서부터 시작입니다. 일단 pc부터 설명을 하자면 크롬에서 메뉴-설정으로 들어가서 쿠키를 검색합니다. 꼭 검색하지 않아도 콘텐츠 설정을 찾을 수만 있다면 됩니다.
콘텐츠 설정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쿠키로 이동합니다.
사이트에서 쿠키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도록 허용(권장)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끄면 pc는 완성입니다. 혹은 종료시 삭제 사이트에 구글을 추가하는 방법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다른 사이트들에는 쿠키 저장이 필요한 곳들이 있을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꺼도 큰 상관 없습니다. 인터넷 사용 기록 안남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모바일은 사용중인 브라우저마다 조금 달리 갑니다. 보통 삼성브라우저 아니면 크롬을 쓰시고 계실거라 생각하고 얘기하겠습니다. 이미 계정단위로 설정되는 활동제어를 다 끄고 왔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인터넷 창을 열고 설정에 들어가서 개인 데이터 관련한 탭에서 쿠키 저장을 끄면 됩니다.
이미 검색기록이 남은 수많은 것들을 한꺼번에 일괄 삭제하는 방법은 쿠키 데이터 삭제로 한방에 날리거나 상단에 있는 활동제어 쪽에서 삭제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