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산기 링크는 하단에 있습니다. 계산기 사용법은 어렵지 않으니 그냥 척 보면 사용할 수 있을 정도고, 통상임금이 어떤 것인지 계산법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통상임금 계산이 왜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해보자면 다양한 수당을 계산할 때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잡기 때문인데요. 월 기본급, 월 수당, 1년 총 상여금, 주당 근무일수, 하루 근무시간을 알아야 통상임금 시급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은 월급을 30일로 나누어서 계산하고는 하는데 이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본인의 통상임금 시급보다 훨씬 더 적은 금액이 나오게 되죠. 본인이 한달 평균 몇시간을 일했는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시간을 월급으로 나누면 통상임금 시급이 나오게 됩니다.
가령 예를 들자면 한주에 5일, 매일 10시간씩 근무하면서 월 500만원을 받았다고 한다면, (60시간x52.14주)/12개월=260.7시간이 나옵니다. 왜 5일 일하는데 5x10=50시간이 아니라 60시간이냐? 주휴수당 10시간을 더한 숫자 입니다.
즉 위의 예를 든 케이스는 500만원/260시간을 해서 1만9230원이 통상 임금 시급이 되는 것 입니다. 즉 이 금액을 가지고 이제 시간 외 수당, 휴일근로수당, 연차수당등을 챙겨서 먹으면 됩니다. 물론 아래의 링크에 계산기도 있지만 어떻게 계산되는지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길게 한번 적어 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