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입동 날짜
    잡학다식

    입동은 24절기 중 하나로, 한 해의 열여덟 번째 절기에 해당합니다. 음력으로는 보통 10월 초에 위치하며, 양력으로는 대개 11월 7일경에 해당합니다. 2024년에는 정확히 11월 7일이 입동이었으며, 이미 지나갔습니다. 이 시기는 겨울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간주되며, 입(入)은 들어간다는 뜻이고, 동(冬)은 겨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동은 겨울에 들어서는 날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입동은 농경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 중 하나로, 겨울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는 상징적 날이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김장을 시작하거나, 추운 날씨에 대비해 겨울 옷과 장작 등을 마련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또한, 입동 무렵에는 날씨가 점차 쌀쌀해지며 첫 서리가 내리는 일이 많아, 이를 통해 계절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후 변화와 이상기온으로 인해, 입동이라는 절기가 현대의 기후와는 다소 맞지 않는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실제로 2024년 11월 7일, 입동 당일은 꽤 추운 날씨가 느껴졌지만, 이후의 날씨는 크게 춥지 않고 오히려 수능 시즌에는 따뜻한 기온이 이어졌습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 변화로 인해 절기와 실제 날씨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입동은 중국에서 유래한 24절기의 일부로, 당시 농업 중심의 사회에서 날씨와 계절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 위치와 기후 조건이 다르고, 현재는 온난화 등의 이유로 옛 절기가 현대 기후와 완전히 맞아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입동이라는 절기는 전통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로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실제 기후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요즘 같은 이상기후 시대에는 절기를 참고로 하되, 날씨의 급격한 변화를 유념하며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입동은 그 자체로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가 강하며, 겨울이 다가오고 있음을 느끼고 이에 맞게 대비하라는 자연의 메시지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입동 날짜

     

    입동 날짜 바로가기 👉

     

    1. 입동을 검색하면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로 분류되며, 겨울이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입동은 태양의 황경이 225°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2024년 기준으로는 11월 7일에 해당합니다. 이는 음력으로는 10월, 양력으로는 11월 초순에 위치합니다.

     

     

     

    2. 입동은 농촌과 도시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닙니다. 농촌에서는 입동을 기준으로 김장을 시작하거나 끝내는 관습이 있으며, 이때의 날씨와 재료의 신선도가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도심 지역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식재료 준비와 생활 패턴 조정을 시작하는 시기로 인식됩니다.

     

    3. 입동이 되면 시장에는 무, 배추와 같은 김장 재료가 가득 쌓이며, 부녀자들이 김장 준비를 위해 분주해지는 풍경이 나타납니다. 특히 이 시기의 날씨는 겨울철 채소의 저장성과 맛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가와 소비자 모두 입동 날씨를 유심히 관찰합니다.

     

    4. 전통적으로 입동은 계절의 변화를 알리는 지표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입동 날씨를 보고 겨울 내내 날씨가 따뜻할지, 비바람이 거셀지를 예측하며, 경상남도와 전라도 지방에서는 입동 날씨를 기반으로 겨울 추위에 대비한 생활 준비를 시작합니다.

     

     

     

    5. 입동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겨울 준비가 시작됩니다. 농촌에서는 김장뿐만 아니라 땔감을 준비하거나 방한용품을 점검하며, 도시는 난방 시스템 점검과 같은 현대적인 대비를 하게 됩니다. 입동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겨울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집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