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금 서울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요금이에요. 지하철은 2023년 10월 7일부터, 버스는 2023년 8월 12일부터 이동구간제를 도입하여 운임이 부과되고 있어요. 이동구간제는 출발역을 기준으로 도착역까지의 거리에 따라 요금을 책정하는 제도인데요, 이를 통해 보다 공정한 요금 부과가 가능해졌습니다.
먼저, 구간 설정을 살펴볼게요. 1구간은 여행 개시역으로부터 10km 이내이고, 2구간은 10km를 초과하는 경우로 나뉩니다. 이에 따라 승차권별 운임도 다르게 적용되는데요.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승객은 1구간에서 1,550원, 2구간에서는 1,650원을 지불하게 됩니다. 보통권을 이용할 경우 교통카드 운임에 150원이 추가되어 어른은 1,700원, 청소년은 1,400원, 어린이는 500원이 됩니다.
청소년은 만13세 이상부터 만19세 이하까지이며,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 1구간은 880원, 2구간은 960원이 부과됩니다. 보통권을 이용하면 청소년도 동일하게 어른 운임이 적용되어 1,700원과 1,800원이 됩니다. 어린이는 만6세 이상부터 만13세 미만까지 해당되며, 교통카드와 현금 모두 500원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할인권을 사용하는 경우 어린이는 600원, 청소년은 650원이 됩니다.
만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은 우대권을 통해 무료로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증장애인 및 상이등급 1급의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를 직접 보호하기 위해 동승하는 보호자 1인도 포함됩니다. 유아는 만6세 미만일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유아가 홀로 여행하거나 보호자와 함께 여행하는 경우 3명을 초과하는 유아는 유임으로 처리됩니다. 또한, 보호자를 포함한 20인 이상의 단체는 어린이 교통카드 운임이 적용됩니다.
환승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환승 기준과 유의사항도 알아두면 좋아요. 내부환승이나 광역환승을 이용할 때는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며, 하차 시 반드시 하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접촉해야 환승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갑에 2장 이상의 카드가 있으면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중복 차감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서울 시내 버스 요금 체계를 잘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더욱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금 옵션과 할인 혜택을 잘 활용하세요.
서울 시내 버스 요금
1. 서울 시내 버스 요금을 알아보기 위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접속했어요. 이곳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 할인을 포함한 다양한 교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T마일리지 적립과 소득공제까지 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또 모바일 결제 기능을 통해 고속버스나 시외버스 예매도 가능해요.
2. 간선버스 요금은 지하철 요금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어요. 일반 성인은 교통카드로 1,500원, 청소년은 900원, 어린이는 550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 이 외에도 다양한 할인 혜택이 제공되니 꼭 확인해 보세요.
3. 순환버스도 같은 요금 체계를 따르고 있어요. 일반 요금은 1,400원, 청소년은 800원, 어린이는 500원으로 설정되어 있어요. 짧은 구간을 빠르게 이동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겠죠?
4. 광역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요금이 조금 더 높아요. 일반 성인은 3,000원, 청소년은 1,700원, 어린이는 1,500원이에요. 장거리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이용되며,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어요.
5. 심야버스는 야간에 운행되기 때문에 일반 버스보다 요금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요. 성인은 2,500원, 청소년은 1,600원, 어린이는 1,400원으로, 늦은 시간에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요.
6. 요금 체계 우선 순위를 보면 지하철 단독 이용 시 거리 비례 요금제를 적용하고, 환승 시에는 통합 거리 비례 요금제가 적용돼요. 조조 할인제도 있어서 오전 첫차 시간부터 06시 30분까지는 교통카드 요금의 20%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참고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