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환갑, 칠순, 팔순 나이 계산 방법
    잡학다식

    한국에서 환갑, 칠순, 팔순의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국 나이와 만 나이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먼저, 환갑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환갑은 사람의 나이가 만 60세가 되는 해를 말해요. 한국 나이로는 61세가 되는 해에 해당해요. 왜냐하면 한국 나이는 태어나는 해를 1살로 치고, 그 다음부터 매년 한 살씩 더하는 방식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61년이 지난 해에, 즉 만 60세가 되는 해가 환갑이 되는 거예요.

     

    칠순도 비슷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칠순은 70세가 되는 해를 의미하는데, 한국 나이로는 71세가 되는 해에 칠순을 맞이하게 돼요. 이 역시 태어난 해를 1살로 계산하기 때문에, 태어난 해부터 71년이 지난 해, 즉 만 70세가 되는 해가 칠순이 되는 거죠.

     

    팔순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팔순은 80세가 되는 해를 의미하고, 한국 나이로는 81세가 되는 해에 팔순을 맞이하게 돼요. 이는 태어난 해를 포함하여 81년이 지난 해, 즉 만 80세가 되는 해에 해당해요.

     

    정리하자면, 환갑은 만 60세가 되는 해, 칠순은 만 70세가 되는 해, 팔순은 만 80세가 되는 해를 의미하며, 한국 나이로는 각각 62세, 72세, 82세가 되는 해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나이를 계산하면 각 기념일을 정확하게 맞이할 수 있습니다.

     

     

     

    환갑, 칠순, 팔순 나이 계산 방법

     

    환갑, 칠순, 팔순 나이 계산 방법 바로가기 👉

     

    1. 나이 계산이라고 검색하면 달력이 나오면서 만나이를 계산해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오늘의 기준일은 6월 13일로 설정해볼게요. 만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해서 쉽게 따라할 수 있어요.

     

     

     

    2. 제가 1963년 5월 12일에 태어난 분을 예로 들어봤어요. 이분의 생일이 이미 지난 경우, 만나이로는 만 60세가 되어 환갑을 맞이한 걸로 나옵니다. 생일이 지나면 만나이가 정확하게 나와서 편리해요.

     

    3. 그런데 만약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은 6월 14일 생인 분의 경우를 보면, 만나이는 만 59세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생일이 지나야 만나이가 변하기 때문에 조금 차이가 있어요.

     

    4. 앞서 말한 것처럼 각각의 경우는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나이로 62세, 72세, 82세가 되는 해의 생일이 되는 날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환갑은 60세, 칠순은 70세, 팔순은 80세에 해당하는 해의 생일이에요.

     

     

     

    5. 단순히 생일을 챙기는 의미보다는, 이런 기념일들은 장수에 대한 잔치나 축제의 의미를 많이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축하하는 날이라 더 특별하고 의미 있어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