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물때표 보는 방법
    잡학다식

    물때표를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것은 해양 활동을 계획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물때표는 바다의 조수 간만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해양 활동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낚시, 항해, 서핑, 해변 방문 등 다양한 활동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물때표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만조(고조)와 간조(저조)의 시간입니다. 만조는 바닷물이 가장 높은 상태를, 간조는 가장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시간들을 알아보면, 어떤 시간에 활동을 시작하거나 종료해야 하는지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조수간만의 차이, 즉 만조와 간조 사이의 수위 차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차이가 크면 클수록 조류의 흐름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해양 스포츠나 항해 시 안전에 특히 주의해야 함을 알려줍니다.

     

    세 번째로, 물때표를 읽을 때는 추가적인 정보도 중요합니다. 많은 물때표에서는 해 뜨는 시간과 지는 시간, 달의 위상 등의 정보도 제공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특히 낚시를 할 때 물고기의 활동 패턴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치에 따라 물때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분이 방문하려는 특정 지역의 물때표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인터넷에서는 각 지역별로 물때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정확한 물때표를 조회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최신의 조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

     

    물때표 보는 방법 바로가기 👉

     

    바다타임 홈페이지는 전국의 물때표 달력을 제공하며, 통영, 인천, 부산 등 지역별 물때 정보, 조석 예보, 일출과 일몰, 월출과 월몰 시간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곳에서는 바다 활동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필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접속하면 상단 메뉴에서 물때표보는법을 클릭할 수 있습니다. 메인 화면에는 다양한 바다의 물때표가 나열되어 있어,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물때표 보는법 페이지로 이동하면, 물때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개의 동영상이 제공됩니다. 이 영상들은 사진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어, 텍스트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진으로도 설명이 되어져 있는데 먼저 만조와 간조 그리고 물의 높이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해당 숫자의 단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물때와 관련된 용어를 설명합니다. 밀물은 물이 늘어나는 상태를, 썰물은 물이 줄어드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만조는 물이 최고로 차올랐다가 다시 빠지기 직전의 상태를, 간조는 물이 최저로 빠졌다가 다시 차오르기 직전의 상태를 말합니다.

     

    조석은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주기를 일별 시간으로 표시한 것이며, 조류는 밀물과 썰물에서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말합니다. 본류는 밀물과 썰물의 기본적인 흐름 방향을, 반류는 본류가 지형에 부딪혀 발생하는 역류 현상을, 와류는 본류의 부딛힘과 떠밀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지칭합니다.

     

     

    격조는 조류가 암초 지대를 지날 때 발생하는 파동을, 사리는 만조와 간조의 수위 차이가 가장 크고 조류의 흐름이 가장 빠른 시기를 말합니다. 조금은 만조와 간조의 수위 차이가 작고 조류의 흐름이 약한 시기를, 무시는 조금 다음 날에 발생하는 비슷한 조건의 약한 조류를 설명합니다.

     

    물때표 계산법에는 7물때식과 8물때식이 있으며, 이는 각각 서해와 동해, 남해 등에 적용됩니다. 물때식 계산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며, 음력 29일까지 있는 달에서는 30일을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물때 정보를 제공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