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확히는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태정태세문단세는 워낙 많이 들어서 단번에 기억이 나지만 의외로 이걸 끝까지 외우려고 한다면 학생때를 제외하고는 한글자씩 기억이 안나거나 정확한 글자가 뭔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을 기억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조선 시대의 역대 국왕들의 시호나 사후에 받은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각 왕의 재위 순서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구절은 태조 이성계부터 시작해 순종 이척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모든 왕을 포함합니다.
조선왕조는 1392년 태조 이성계에 의해 창건되어 1910년 순종의 통치가 끝나는 대한제국의 국권 상실에 이르기까지 약 500년간 한반도를 지배한 왕조입니다. 조선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아 중앙 집권적인 관료 체제를 강화하였으며, 과거 시험을 통한 관리 선발, 토지제도 개혁 등 여러 중요한 사회적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세종대왕의 통치 기간에는 한글이 창제되어 문맹률을 낮추고 문화적 발전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또한, 조선은 조선시대 후기 특히 정조대왕 시기에 문화와 예술,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눈부신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외세의 침략, 내부의 정치적 갈등, 사회적 불평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점차 쇠퇴해갔으며, 결국 대한제국의 성립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이라는 구절은 조선왕조의 역사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역사 교육이나 연구에서 여전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을 통해 조선왕조의 각 왕들과 그들의 업적을 쉽게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으며, 한국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단순히 두문자만 따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1대가 태조인지 태종인지 2대가 정종인지 정조인지 확인을 하려면 사진으로 보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1대는 무조건 태조가 맞습니다.
태: 태조(이성계) 정: 정종(이방과) 태: 태종(이방원) 세: 세종(이도) 문: 문종(이향) 단: 단종(이홍위) 세: 세조(이유) 예: 예종(이황) 성: 성종(이혈) 연: 연산군(이융) 중: 중종(이연) 인: 인종(이호) 명: 명종(이환) 선: 선조(이염) 광: 광해군(이혼) 인: 인조(이종) 효: 효종(이호) 현: 현종(이염) 숙: 숙종(이순) 경: 경종(이윤) 영: 영조(이금) 정: 정조(이산) 순: 순조(이조) 헌: 헌종(이관) 철: 철종(이변) 고: 고종(이명복) 순: 순종(이척)
조, 종, 군을 외우는 것은 사실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떠한 규칙이 있다면 외울 수 있을 것 같고 아니면 아예 표를 보면서 머리속에 조와 군의 자리를 외운 뒤에 나머지는 전부 종으로 외우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