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서남북을 구별하는 방법은 오랜 역사와 문화 속에서 굳어진 관념 중 하나입니다. 나침반 없이도 주변 환경과 지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쉽게 동서남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나이테나 해의 방향과 같은 것은 제쳐두고 단순하게 이야기를 하면 내가 북쪽을 바라보고 있다고 가정하면, 주변 환경을 통해 간단한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은 동쪽입니다. 왜냐하면 해가 동쪽에서 떠오르기 때문에 해는 동쪽에서 나오게 됩니다. 또한, 새벽에 빛이 동쪽에서 나타나는 것도 동쪽을 가리킵니다.
왼쪽은 서쪽입니다. 해가 서쪽으로 지는데, 해가 지는 방향이 서쪽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가 지고 나서 서쪽 하늘에 붉은 빛이 나타나는 것도 서쪽을 가리킵니다.
앞은 북쪽입니다. 북쪽은 해가 떠오르는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기준으로 북쪽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나무의 노풍송이나 이끼들이 북쪽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가지는데, 이는 햇빛을 피해 자라는 방향이 북쪽이기 때문입니다.
뒤는 남쪽입니다. 해가 떠오르는 동쪽을 기준으로 하면, 나머지 방향 중 뒤가 남쪽이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주변 환경과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동서남북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인간의 실생활에서 많이 활용되며, 복잡한 나침반 없이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동서남북 구별법
1. 지도에 이런 방위 표시가 나오는데 아쉬운 것이 동서북남의 순서로 되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아마 4를 그리지 쉽게 하려고 그런 것 같은데 동서남북의 순서가 오히려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을 합니다.
2. 일부러 4의 모양을 맞춘 것인지 우연찮게 맞은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해당 모양을 그려놓고 보면 더 쉽긴 합니다.
3. 이건 사진이 돌아가있는데 북쪽이 왼쪽이라면 내 앞이 동, 뒤가 서, 오른쪽이 남이 됩니다.
4. 나침반에 보통 이런 모양이 있으며 요즘은 지도에도 해당 표시를 해둔 곳이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