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군인 정년 퇴직 나이
    잡학다식

    군인의 정년 퇴직 나이는 계급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연령정년, 근속정년, 그리고 계급정년이 있으며, 이는근무 기간과 계급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군인의 퇴직은 다양한 경우에 따라서 이루어지며, 정년 전역, 의사 전역, 그리고 본인 의사 미포함 전역 등의 경우도 있습니다.

     

    연령정년은 보통 만 나이로 정해지며, 일정한 나이에 도달하면 그 해의 말 혹은 다음 해의 초에 퇴직을 하게 됩니다. 연령정년은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나이로 결정됩니다.

     

    근속정년은 군인의 근속 기간에 따라서 결정되며, 보통 근속 일수에 따라서 계산됩니다. 근속 정년은 군에서 근무한 기간을 고려하여 퇴직 나이가 결정되는데, 보통 근속 일수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퇴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계급정년은 각 계급에 따라서 정해지는 퇴직 나이로, 특정 계급에 머무른 기간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계급정년은 진급 속도와 각 계급별 근무기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또한 군인의 퇴직은 단순히 정년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본인의 의사로 인해 퇴직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인의 가정 상황이나 다른 사유에 따라서 이루어집니다. 또한 퇴역과 전역도 다른 개념으로 존재합니다. 퇴역은 정규 복무를 마치고 본직을 떠나는 것을 의미하며, 전역은 의무 복무 기간을 모두 마치고 군에서 완전히 해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표로 정리되어져 있으며 해당 내용을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군인 정년 퇴직 나이

     

    1.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상단의 메뉴에서 책자형 - 책자형 생활법령을 클릭합니다.

     

    3. 여러가지 메뉴 중에서 국방/보훈을 클릭합니다.

     

    4. 아래의 메뉴가 바뀌면 병역의무자(현역)을 클릭합니다.

     

    5. 좌측의 메뉴에서 전역 등을 클릭하고 장교 등의 정년 및 전역을 클릭합니다.

     

    6. 연령정년부터 이야기를 하면 원수의 경우 종신입니다. 대장이 63세, 중장이 61세, 소장이 59세, 준장이 58세, 대령이 56세, 중령이 53세, 소령이 45세, 대위/중위/소위가 43세, 준위가 55세, 원사가 55세, 상사가 53세, 중사가 45세, 하사가 40세입니다.

     

    근속정년의 경우 위관급이 15년, 영관급이 각각 24년, 32년, 35년이며 준위가 32년이네요. 계급정년의 경우 준장, 소장, 중장이 각각 6, 6, 4년입니다.

     

    7. 본인 의사에 따른 전역이 나오는데 의무복무기간을 마친 장기복무자의 경우 전역을 원하면 전역할 수 있으며 몇가지 내용이 더 나옵니다.

     

    8. 본인 의사에 따르지 않는 전역의 경우 각 군 전역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현역에서 전역시킬 수 있습니다.

     

     

    9. 정년 전역의 경우 현역 정년에 도달한 사람이 정년이 되는 달의 다음 달 말일에 당연히 전역된다고 합니다.

     

    10. 퇴역의 경우 20년 이상 현역에 복무하고 퇴역을 원하거나 연령정년에 도달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일 때 퇴역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