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서(處暑)는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날짜로, 양력 기준으로는 8월 23일쯤, 음력 기준으로는 7월 15일경에 위치합니다.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으며, 여름이 점점 끝나가고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한국의 여름은 종종 무더운 기후로 유명한데, 처서를 지나면서 더위가 점차 가라앉고 서서히 시원한 가을의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더운 여름이 끝나고 여름철 피로와 더위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처서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처서를 지나면 대체로 밤이 길어지고 낮이 짧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날씨도 서서히 시원해지면서 햇볕 아래서 활동하기 좋은 계절로 변해갑니다. 이전에는 무더운 날씨로 인해 밖에서 활동하기 어려웠던 것이 처서 이후에는 산책이나 야외활동을 즐기기에 좋은 기후가 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처서를 맞이하여 야외 활동을 더 즐기곤 합니다.
전통적으로 처서는 농사일과 관련된 시기로 농사일을 준비하고 수확하기에 적합한 계절이기도 합니다. 농사일과 함께 가을의 식물들이 늘어나면서 자연도 변화하게 되는데, 산과 들은 점점 더욱 화려해지고 노을의 붉은 빛으로 물든 풍경은 매우 아름답습니다.
이렇듯 처서는 더위가 점차 가실 때 가을의 시작을 예고하는 의미로서 귀중한 절기입니다. 더운 여름의 끝과 가을의 시작을 맞이하여 인간들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즐거운 활동을 즐기게 되며, 그 동안의 피로와 더위에서 벗어나 여유롭고 시원한 가을을 맞이하게 됩니다.
처서 뜻
1. 다음백과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처서를 검색해봅니다.
3. 여러 결과 중에서 클릭하여 하나씩 확인해보면 되는데요.
4. 귀뚜라미의 애간장 끊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처서라고 하는데 더위를 처분하고 가을의 길목에 접어드는 때라고 합니다.
5. 24절기 중 열네번째로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서 부르지만 실제로 처서가 오는 그때에도 여름의 절정이긴 합니다.
6. 절기 순서상 입추가 지난 이후 처서입니다만 가을이 왔음에도 더위가 아직 가시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7. 하지만 절기라는 것이 우리나라와 잘 맞지 않기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만 우리는 유명한 것들 몇가지는 알고 있고 특히나 계절이 시작 되는 시점 정도는 늘 알고 지내는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