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9제 49재 계산 하는 방법
    잡학다식

    49재란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로부터 정확히 49일이 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불교 사상이 깊이 녹아들어 있기 때문에 이를 따라 하는 가정도 있고, 반대로 불교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이를 실천하는 가정도 있습니다. 이는 결국 모든 사람들이 돌아가신 분이 좋은 곳에서 편안히 쉬며 지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49재는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로부터 정확히 49일째를 의미합니다. 이때,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을 1일로 계산할지 말지에 따라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을 1일로 산정합니다.

     

    먼저,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을 확인한 후 거기서부터 49일을 세어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돌아가신 분의 사망일이 2023년 1월 1일이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렇다면 49일 후는 2023년 2월 18일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계산하여 49재를 지키고 있다면, 그리고 그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면,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49재는 불교의 영향을 받는 관습이기도 하지만, 종교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돌아가신 분의 명복을 비는 마음으로 이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어떠한 형식보다도 마음과 정성이 전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따르는 관습과 신념에 따라 49재를 계산하고 실천한다면, 그것이 가장 의미 있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49제 49재 계산 하는 방법

     

    1. 다음 백과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해당 페이지 검색창에 49재를 검색합니다.

     

    3. 여러가지 결과물 중에서 몇가지를 클릭하여 확인해보면 되는데요.

     

    4.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입니다. 이를 만화로 만든 것이 신과 함께이기도 한데 7지옥을 7일씩 돌고 난 이후에 판결을 받는 이야기입니다.

     

    5. 불교식 장례 예법에 따라서 7일마다 7차례를 지내기에 칠칠재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5. 고려시대때는 국교로 불교가 지정될 정도였고 그게 아직도 남아 있기에 부처님오신날이 공휴일이고 쉬는 날이기도 합니다.

     

    6. 방식은 유교식 제사가 아니라 불교의 불공 의식을 의미한다고 하며 절차와 방식도 유교식 제사와는 완전히 다르다고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