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재직증명서 인터넷 발급
    잡학다식

    재직증명서에 대한 주제를 다루는 이 글은 여러분에게 근로자로서 어떠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필요한 문서인 재직증명서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 합니다. 특히, 재직증명서는 공무원의 경우와 일반 회사원의 경우에 따라 발급 방법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공무원인 경우, 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 재직증명서 발급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공기관이라는 특성상 공개적인 정보 제공이 용이하고, 정부가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반 회사원의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 회사원이나 사립 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 재직증명서는 각 회사나 단체에서 정한 문서의 규정 범위 내에서 서식을 작성하여 발급 받아야 합니다. 이는 각 회사나 단체의 사정과 정책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근무하는 회사에 재직증명서 발급에 대해 직접 요청하거나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해당 서류는 특정 근로자가 현재 어떤 기업이나 회사에 소속되어 있는 사실, 그리고 그 근무지와 직책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서입니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 발급 가능하며, 4대 보험 가입 여부와는 상관없이 재직 사실만 확인되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회사 내부적으로 발급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근무확인서라는 비슷한 종류의 문서로 대체하여 발급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정책이나 사정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기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양식은 각 회사나 단체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본인의 성명, 회사명, 기간(입사 날짜), 고용주(사장)의 도장(회사의 도장), 문서번호, 그리고 사용 목적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 외에도 부서, 직위, 집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성할 때는 본인의 사항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발급 받는 목적에 맞게 필요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이 어떤 직장에 소속되어 있거나 어떤 직책을 맡고 있음을 보증하는 증명서이므로, 그 안에 담긴 정보가 정확해야 합니다.

     

     

    재직증명서 인터넷 발급

     

    1. 정부2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검색창에 재직증명서라고 검색을 합니다.

     

    3. 조회 발급 4건 중에서 본인이 해당되는 것을 찾아서 클릭하면 되는데요. 저는 공무원을 선택했습니다.

     

    4. 수수료는 조례별 수수료라고 하며 발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비회원 신청하기를 했고 해당 과정은 사진으로 간단하게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6. 지방공무원, 국가공무원퇴직자, 지방공무원퇴직자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네요. 발급에는 인증서가 있어야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7. 근무처를 선택한 뒤에 근무기간, 용도, 신청부수를 입력합니다.

     

    8. 수령 방법을 선택하고 수령기관까지 선택한 다음에는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완료하면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