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폐가전 제품 무료 방문 수거, 무상 수거 대상 확인
    잡학다식

    폐가전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가전제품들이 사용 기간이 지나면서 발생하는 폐기물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올바르게 처리하지 않으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처리가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환경보호와 함께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는 대형가전 제품에 대해서는 거의 모두 가능하며, 소형가전도 5개 이상일 경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폐가전 처리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동시에, 환경보호에도 큰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폐가전을 무료로 수거해주는 이유는, 이러한 가전제품들이 포함하고 있는 유해 물질들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올바르게 처리되도록 돕는 것은 환경보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본문에서는 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무상 수거 대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예정입니다. 폐가전 처리에 관심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해 환경보호에 동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환경을 생각하며 현명한 선택을 함으로써, 지구를 보호하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폐가전 제품 무료 방문 수거, 무상 수거 대상 확인

     

    1. 저는 대형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라고 검색을 하고 정부24 사이트로 들어갔습니다.

     

     

    2. 콜센터 1599-0903 혹은 인터넷 www.15990903.or.kr로 들어가라고 하는데 검색으로 들어갈 수는 없을까 싶어서 저는 검색을 해봤는데요.

     

    3.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으로 검색해서 해당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4. 수거 예약하기를 클릭합니다.

     

    5. 3개 다 필수 이기에 다 체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6. 고객명, 휴대폰번호, 주소, 대출희망일자는 필수 이며 전화번호, 주거구분, 메모는 선택사항 입니다. 다만 주거구분은 적어두면 수거하러 오시는 분들이 어떻게 작업을 할 지 예상하실 수 있겠네요.

     

    그리고 한가지 놀랐던 점이 있는데 다음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7. 배출일자의 경우에 제가 이걸 확인한 날이 동그라미 쳐져서 아시겠지만 13일입니다. 24~27일이 연휴라는것을 감안하더라도 14일부터 31일까지 예약가능한 날이 단 4일 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예약을 한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겠네요.

     

    8. 배출품목을 저해야 하는데 대형가전제품을 배출하는 경우 소형가전품목을 함께 배출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대형가전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소형가전품목을 5개 이상 배출해야 한다고 하는데 눌러보시면 알겠지만 컴퓨터, 노트북,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오디오, 휴대폰, 음식물처리기, 히터, 비데, 청소기, 선풍기, 가습기, 다리미 등 집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거의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럴일은 없겠지만 이론상으로는 휴대폰 5개도 되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에어컨, 벽걸이 tv의 경우 기본 철거가 되어 있는 상태여야 수거를 해가고 인력이로 수거가 불가능한 제품은 배출 주민이 수거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조치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집안 수거시에 고객님의 동행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9. 배출 예약을 한 뒤에 날짜를 까먹었다면 연락처와 예약번호를 입력해서 조회할 수 있는데 예약번호를 까먹었다면?

     

    10. 휴대폰 번호로 예약번호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배출예약 조회 할 때 휴대폰 번호로만 확인 가능하게 만들었어도 될 것 같은데 예약번호까지 입력을 하게 되어 있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