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를 대비하여 정부가 시행하는 사회보장제도로, 노후에 직장이 없더라도 일정한 수준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의 수령액은 개인의 노후 소득 보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 중 가장 큰 요인은 개인의 근로기간과 월평균소득입니다. 근로기간이 길고 월평균소득이 높은 경우, 국민연금 수령액도 높아집니다. 또한, 연령도 중요한 요인으로, 노후연금은 정년을 넘긴 후에 수령이 가능합니다.
연금수령 연령이 높아질수록 오랜기간 납입을 했다는 이야기일 수 있기에 월 수령액은 커집니다. 그 외에도 납입기간, 납부금액, 가입자의 성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국민연금 수령액을 추정하는 계산기도 인터넷상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외에도 개인적인 저축과 투자 등을 통해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노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민원신청 - 개인민원으로 들어갑니다.
3. 예상연금액 조회는 공인인증서를 통해서 현재 내가 가입중인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가 가능하지만 보안프로그램 설치과 로그인이라는 귀찮은 점이 있고 예상연금 모의계산은 말그대로 모의계산이기에 정확한 결과물을 받아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먼저 예상연금액조회는 국민연금과 국민/개인/퇴직/주택 합쳐진 것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한 이후에 보안프로그램 설치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거쳐서 조회하시면 됩니다.
5. 모의계산의 경우 저는 생년월일 1960년 1월 1일, 국민연금 최초 가입년월 1990년 1월, 국민연금 최종 상실년월 2020년 1월, 예상소득상승률 2% 월소득 300만원, 2008년 1월 1일 이전 자녀 2명으로 검색을 하였습니다.
참고로 2008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낳거나, 군복무를 했다면 인정기간에 조금 추가가 됩니다.
6. 제가 입력한 정보로는 지금 현재기준으로 2002년 2월부터 한달에 약 170만원의 국민연금을 받을수 있으며 해당 금액은 물가상승률에 따라서 같이 올라갑니다.
7. 그리고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는 노후준비자금 통합 계산과 노후준비자금 계산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통합 계산의 경우 국민연금 + 퇴직연금 + 개인연금을 포함하여 계산하는 것이고 노후준비자금은 국민연금을 이용하여 준비자금을 계산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노후준비 상담지사안내, 간단재무설계, 자가진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