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혼자산다에서 이시언씨가 주택청약을 들어서 분야에 당첨이 되어 아파트에 이사하는 에피소드가 나왔던 기억이 납니다.
주택청약은 오래 들어야 좋다는 얘기도 있고 무주택 기간이 길어야 한다는 얘기도 있는데 정확하게 어떤 것으로 점수가 매겨지는지, 커트라인은 또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 평균적으로 몇점정도 될 때 분양이 가능한지, 신청이 가능한지에 대해 털어보고자 합니다.
전용면적에 따라서도 조금 달라지고 항목별로 점수를 채워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어느 곳에서 점수를 더 채울 수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주택기간이 언제부터인지 계산하는 것을 모르는 분들이 많으신데 그 기준점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청약점수 계산 및 청약가점제 커트라인 청약점수 계산 및 청약가점제 커트라인
1. 부동산11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다른 곳도 많지만 편한 곳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홈페이지 화면 우측에 부동산계산기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3. 양도소득세, 취득세, 상속세, 증여세 등이 있지만 기타에 청약가점제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4. 주택소유여뷰,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을 선택해서 계산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부양가족수는 0명부터 6명이상을 선택하며 청약통장 가입기간은 6개월 미만부터 15년이상까지 중에 본인에게 맞는 기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5. 무주택기간은 0년의 경우에는 만 30세미만이며 미혼인 무주택자 / 본인과 세대원이 주택을 소유한 자가 해당되며 1년미만의 경우 2점으로 시작하여 무주택기간 만점은 15년이상 32점입니다.
무주택자에 대한 기준은 현재 청약통장 가입자의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가입자 및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6. 부양가족수는 0명부터 6명이상으로 나뉘는데 0명 5점에 6명이상 35점이며 1명당 5점이 추가되는 식입니다. 동일한 주민등록 등본에 등재되 직계존비속(배우자 직계존속 포함)으로 구성됩니다.
7. 가입기간은 6개월미만 1점부터 15년 이상 17점으로 나뉘는데요. 1년마자 1점이 늘어나고 15년이상의 가입년수는 의미가 없습니다. 만일 20살에 들어서 35살쯤 결혼하다고 하면 가입기간은 만점을 받을 수 있겠네요.
다만 대부분의 20-30대들은 부양가족가족수에서 모자라는 편이기 때문에 높은 점수를 채우기가 쉽지 않죠. 보통 커트라인으로 60점이상은 되야 확률이 있는데 점수 채우기가 쉬운일은 아니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