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으로 취직을 하고 이사를 가면서 세금을 내면서 생각했던 것이 있다면 세금을 내는 것이 어른이 되는 것 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20년을 넘게 살면서 전혀 신경쓰지 않았던 부분인데 앞으로는 평생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되는 것인데요.
아마 사회 초년생 혹은 20-30대 중에서는 아직도 세금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가 잡히지 않은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랬었고 그냥 내라면 내고 달라면 주고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궁금해져서 월급 명세서를 자세하게 쳐다봤던 것 같습니다.
월급 명세서를 자세하게 살펴 보신 분이라면 기본적으로 빠지는 4대와 근로소득세 그리고 지방세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우리는 보통 세후를 이야기 할 때 저렇게 6개를 제외하고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일반 지방세라는 것은 지자체가 과세권을 가지고 있는데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시, 군, 구 정도로 구분이 되는데요.여기서 구세는 자치구의 구세를 말합니다.
납세 증명서를 인터넷 발급 받을 수 있는 곳들이 몇군데 있는데 다 같은 것이기 때문에 편한 곳으로 들어가서 발급 하면 됩니다.
지방세 납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지방세 납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1. 정부24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검색창 부분에 지방세 납세증명이라고 검색합니다. 납세증명서라고 검색을 하면 결과가 나오지 않으니 꼭 똑같이 검색하여야 합니다.
3. 신청서비스 2건 중에서 가장 위에 나오는 지방세납세증명을 클릭합니다.
4. 신청 방법에는 인터넷, 방문, FAX, 우편이 있고 수수료는 없다고 나오며 발급 버튼을 눌러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5. 저는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했고 동의해야 할 부분들을 동의하고 필수 입력 부분을 채워 넣은 뒤에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6. 지방세 납세증명 인터넷 발급의 경우에는 본인 확인이 필요하고 인증서가 있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민원신청인이 구비서류 열람 사전동의를 거치면 민원처리기관에서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서류 제출이 별도로 필요 없는데 이 부분은 아래에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지갑, 전자증명서로 가능한 사무이며 그 외에 필요한 내용들은 꼼꼼히 읽어보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7. 신청내용을 보면 사업자구분을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표기방법을 선택합니다. 개인의 성명와 생년월일의 경우에는 아까 입력한 정보가 기입되어져 있고 주소, 전화번호까지는 필수 입력 사항이며 현사업장 주소와 사업의 종류의 경우에는 선택으로 남겨져 있습니다.
8. 신청내용에는 증명서 사용 목적이 있는데 대금수령, 해외이주, 부동산 신탁등기, 그 밖의 목적 중에서 선택을 합니다.
9. 수령발법에는 온라인발급 본인출력이 있고 앞서 봤던 것처럼 전자지갑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발급 부수를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넘어갑니다.
10. 앞서 이야기 했었던 구비서류 열람 사전동의가 가장 아래에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동의 한다고 체크가 되어져 있기에 서류를 따로 제출할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그대로 두는 것이 맞을 것 같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