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파이더 카드게임 다운로드
    잡학다식

    수많은 게임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에 게임계에도 레트로 열풍이 살짝 불고 있나 봅니다. 스파이더 카드게임 혹시 기억나는 분들 계신가요? 처음에 컴퓨터 할때는 지뢰찾기랑 핀볼만 했었는데 어느 순간에는 이 게임이랑 프리셀을 하고 있는 저를 발견했었습니다.

     

    지뢰찾기도 결국 꼼수아닌 꼼수가 있다 보니 처음에 클리어 하는 맛으로 몇판 하고나면 질리게 되죠. 핀볼도 처음에는 재밌는데 손가락을 계속해서 혹사 시키는 이 게임에 질리더라구요. 한판에 짧으면 5분 길면 10-20분 정도 걸리는 킬링타임용 게임으로는 아주 괜찮습니다.

     

    게임은 K Q J 10 ... 3 2 A 순서로 모든 카드를 맞추면 되는데요. 이게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난이도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초급은 딱 하나의 문양만을 가지고 하며 중급은 2가지 고급은 4가지 문양 스페이드, 클로버, 다이아, 하트가 모두 나오는 난이도 입니다.

     

    저는 초급 중급이 있는 줄 모르고 항상 고급으로 했던 기억이 나는데 초급에서 게임 규칙을 익히고 중급에서 숙련도를 쌓은 후에 고급이 되면 진짜 게임이 게임다워 지는걸 느낄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아니 아주 자주 더 이상 옮길 수 있는 카드가 없어서 중간에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를 볼 수 있을 겁니다.

     

    다운 방법은 총 3가지가 있는데 개인 적으로는 1번이나 3번 방법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스파이더 카드게임 다운로드

     

    스파이더 카드게임 다운로드

     

    1. 첫번째 방법은 바로 spider game 혹은 solitaire라고 검색을 해서 가장 위에 나오는 링크로 들어가서 다운 받는 방법입니다. 공식홈페이지 링크를 찾고 싶었으나 해당 게임은 공홈이 없어서 믿을만한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받는 것이 최선인 듯 합니다.

     

     

    2. 두번째 방법은 제가 올려드린 파일을 다운 받는 방법인데 공홈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파일을 올리지만 평소에는 파일을 절대 올리지 않고 다운받는 방법을 알려드리는편입니다. 저도 다른 블로그에서 웬만하면 파일을 다운받지 않는 편인데 파일에 어떤일이 있을지 몰라서 입니다.

     

    그래서 파일을 올리기는 했습니다만 첫번째나 세번째 방법으로 다운 받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이 듭니다.

     

    3. 세번째 방법은 바로 윈도우 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시작 버튼을 누르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Microsoft Store)로 들어가서 solitaire라고 검색한 뒤에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soli까지만 쳐도 아마 나올겁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아직 절반은 윈7이나 윈8을 쓰고 있는데 윈도우 10에서 사용가능한 방법이라서 가장 마지막으로 돌렸습니다.

     

     

    4. 게임이름이 영어 이름은 solitaire가 들어가는 이름이 정식 명칭인 것 같고 국내에 번역된 이름은 스파이더 카드놀이가 정식 명칭이나 많은 분들이 스파이더 카드게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가끔 이렇게 옛날에 했던 게임들이 생각나고는 합니다. 모바일 게임들도 폴더폰이나 슬라이드 폰으로 했었던 액퍼패나 슈액히나 영웅서기 같은 것들이 왜이리 하고 싶은지 모르겠습니다. 액퍼패는 그나마 카카오에 나왔을때 잠시 맛을 봤었지만 슈액히는 잠깐 나오는 듯 하더니 아예 사라져 버렸고 미니게임천국이나 영웅서기 제노니아 같은 게임들도 apk파일을 구할수는 있으나 현재 플레이가 불가능하더라구요.

     

    그나마 옛날 cd게임들은 요즘 운영체제에 맞춰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다운받을 수도 있고 구매할 수 있는 곳들도 있는 것 같지만 모바일 쪽은 이런부분이 많이 아쉬운 것 같습니다. 컴투스나 게임빌이 모바일을 장악할 시기에 게임들이 그리운 것들이 많은데 아직 게임빌과 컴투스가 살아 있으니 레트로감성이 불고 있는 요즘 이런 부분들 이벤트성으로라도 한번 싹 풀어주면 참 좋겠다 싶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