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와 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는 같은 홈페이지긴 합니다만 전혀 다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탄소포인트의 경우 집에서 에너지를 아끼는 형식이고 실천포인트제의 경우에는 기업이 참여를 해야만 내가 행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져 있습니다.
2023.01.06 - [잡학다식] - 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홈페이지, 전자영수증, 다회용기, 무공해차 등
실천포인트제는 위의 링크를 참고하면 됩니다. 탄소포인트제가 집에서 가스, 전기 등을 절약한다면 그에 대해서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이기에 한번 혹은 2번밖에 할 수 없다면 실천포인트제의 경우 다회용기 사용, 전자영수증 사용 등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기에 둘 다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고 실천포인트 같은 경우에는 점점 더 적립이 가능한 곳들이 늘어난다면 저도 한번 참여를 해보고 싶네요.
현재까지는 유의미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아서 알아두고만 있지만 최근 참여하는 곳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어서 언젠가는 괜찮아지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1.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해당 홈페이지 상단 메뉴들을 보면 신청 방법부터 시작해서 포인트는 어떻게 쌓이는지, 쌓인 포인트는 어떻게 사용을 해야하는지 등에 관해서 순서대로 설명이 나오는데요.
3. 일단 탄소포인트제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감축률에 따라서 포인트를 부여하는 실천 제도입니다.
4. 참여시 장점에 관해서 나오는데 에너지 절감도 하고 돈도 더 생기니 1+1 느낌이긴 하겠네요.
5. 참여 방법은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계량기가 부착되어져 있거나 다른 객관적인 방법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확인 가능한 경우에만 됩니다.
6. 개인과 상업이 모두 가능한데 가정은 세대주와 세대원, 상업시설은 실 사용자, 개인의 경우 가정의 세대주나 구성원 또는 학교, 상업시설 등의 실제 사용자입니다.
7. 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장, 학교의 경우 학교장, 일반 건물은 건물관리자이며 단지는 15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 및 학교, 일반건물의 공용부분을 관리하는 아파트 관리사무소, 학교장, 건물관리자 입니다.
8. 신청방법은 탄소포인트제 누리집에서 가입을 하며 누리집에 접속하여 가입을 하고 가입절차 안내 동영상을 보면서 하면 됩니다.
9. 방문신청도 가능한데 관할 시군구 담당 부서에 방문을 하여 참여 신청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다만 서울특별시 거주자의 경우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가입해야 한다고 하네요.
10. 참여시 주의사항은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요금고지서 별도 납부시에 전기와 상수도, 도시가스를 따로 확인해야 하고 관리비에 포함 납부할 경우에는 고객번호 별도입력이 불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