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로 한자를 찾을 때는 훈과 음으로 나뉠텐데요. 가령 나무 목(木)을 찾는다고 하면 목을 검색하여 해당 한자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고 나무를 검색해서 나무의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를 검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두가지 방법이 다 가능하고 같은 뜻을 가지고 있더라도 실제로 한자가 엄청나게 여러개인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쓰는 한자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우리가 평소에 해당 단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았지만 그런 뜻으로 쓰이는 한자가 있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한글로 한자를 찾는게 가능한 이유는 훈으로 검색도 가능하고 음으로 검색도 가능하기 때문이며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하면 한글자인 한자도 검색이 되지만 앞에 길게 뜻으로 되어있는 것도 검색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한자가 결과로 나온 뒤에 클릭을 해서 보면 어떻게 사용이 되는지도 알 수 있기에 내가 사용하려고 하는 목적에 맞는지 확인도 가능한데 아래 사진을 순서대로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글로 한자 찾기
1. 다음 한자 사전을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한자 사전 홈페이지로 들어오면 검색창이 보이고 기본적으로 한자가 선택되어져 있기에 상단에 한자라고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저는 물 수(水)를 검색하기 위해서 일단 수 라고 검색을 해보았는데요.
4. 가장 위에 물 수를 비롯하여 셀 수, 손 수, 드디어 수 등 다양한 한자들이 나오는데 셀 수의 경우에는 산수 할때의 수이고 따를 수는 수락의 수, 손 수는 말 수제할 때 수 입니다.
5. 클릭을 해보면 한글로 한자를 찾았을 때 해당 단어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 수 있기에 우리는 어떤 한자를 사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글로 된 단어가 어떤 한자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6. 반대로 수 말고 물을 검색해보았는데요.
7. 만물 물, 물 하, 물 설 외에 물 수가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물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에는 물 수도 있지만 하천 할때 쓰는 물 하도 있네요.
8. 이번에는 물 수 같은 자주 쓰거나 흔히 아는 단어 말고 돼지를 한번 검색해보았는데요.
9. 아마 돼지 돈은 다 알겠지만 돼지 저, 돼지 해, 돼지 견, 돼지 시는 몰랐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일단 저팔계할 때 쓰이는 돼지 저 이고 돼지 해느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할 때 돼지 해 입니다.
즉, 같은 돼지라는 뜻을 가진 단어라도 한자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