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소년증 발급 방법
    잡학다식

    제가 학생이였을 때를 생각해보면 학생증은 있었을지언정 청소년증은 없었던 것 같은데요. 고2 고3쯤해서 주민등록증이 발급되었던 것도 기억이 나긴 하네요. 당시에 주민등록증은 발급만 되고 전혀 쓸 곳이 없어서 그냥 지갑 속에 혹은 가방 속에 그냥 들어만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마 기억에 10대의 학생증은 모두 종이로된 것인데다가 전혀 쓸모가 없어서 받자마자 거의 버렸던 것 같긴 한데 그걸 왜 만들어줬을지 의문이긴 합니다. 오히려 사진을 비롯해서 개인정보 덩어리를 종이 한장에 굳이 만드는 이유는 뭐였을까요?

     

     

    요즘의 청소년증은 본인이 청소년임을 증명함은 당연하고 이걸 가지고 있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들도 몇가지가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교통카드가 합쳐져 있다는 것이 괜찮은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누가 교통카드를 실물로 들고다닐까요? 전부 내가 자주 사용하는 것과 합쳐 놓거나 아니면 휴대폰으로 할텐데 이게 그냥 하나를 늘리는 것 같기도 하고 괜찮은 것 같기도 하고 애매한 것 같네요.

     

    그리고 많이들 착각하는 것이 청소년이 곧 학생이라고 생각하는데 청소년과 학생은 별개이며 학생이 아니여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발급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아래의 사진을 보고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청소년증 발급 방법

     

    1.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상단의 정책정보 - 청소년 - 청소년증 발급을 클릭합니다.

     

    3. 청소년증이란 만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본인임을 확인하는 신분증이고 학생의 여부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발급권자는 특별자치도지사, 특별자치시장, 시장, 군수, 구청장이며 용도는 신분증, 우대, 교통 등에서 사용이 됩니다.

     

    4. 지원 대상은 만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이며 유효기간은 만 19세가 되기 바로 전날까지 유효합니다.

     

    5. 청소년증 발급 방법은 청소년 본인 또는 대리인이 신청이 가능한데 전국 어디든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당문수령 또는 등기수령이 선택 가능한데 발급비용은 무료이지만 등기수령 선택시에는 우송료를 신청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6. 즉, 청소년이나 대리인이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청하고 받으면 됩니다.

     

    7. 필요 서류는 발급신청서, 사진 1매, 대리인 신청시에는 대리인 증명서류가 필요합니다.

     

    8. 궁금한 점은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로 하면 된다고 하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