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림조합원 가입 조건
    잡학다식

    산립조합에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산에 대해서 이야기를 좀 해보자면 저는 바다 보다는 산을 더 좋아하는 사람인데요. 물론 보는 것은 둘 다 좋아하는 편이지만 바다는 대부분 어디를 가더라도 비슷한 뷰에 비슷한 느낌을 받는 반면에 산은 어디를 가더라도 다른 느낌을 받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산이라는 큰 카테고리안에 들어있다고 할지라도 어떤 산은 기암괴석이 많은 돌산이고, 어떤 산은 아주 큰 나무가 울창하게 자라있는 숲과 같은 산일 수도 있고 어떤 산은 정상에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산 일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경치가 좋은 곳들이 전부 관광지화 되어 있어서 찾아가기도 편하게 되어 있는데요. 물론 아직도 등산으로만 갈 수 있는 곳들이 많긴 하지만 언젠가는 웬만한 곳은 차로 가거나 케이블카로 갈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에 조합이라는 것은 좋은 의미와 나쁜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딘가에 소속된다는 소속감이 있겠지만 장단점이 명확한 것도 사실이겠죠.

     

    장점과 단점에 이야기하기 보다는 가입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들을 단순하게 확인하고 소개하는 정도로 할까 합니다.

     

    산림조합원 가입 조건

     

    산립조합중앙회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조그맣게 있는 산림경영지원 버튼을 클릭합니다.

     

    해당 페이지로 이동이 되고 나면 상단의 메뉴에서 산주지원 - 조합원가입을 클릭합니다.

     

    조합원 가입 안내를 보면 산림소유자와 임업인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고 하며 산림경여에 관한 임업기술복브 및 산림사업을 대신 경영하여 주는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

     

    가입이 혜택에 대해서 나오는데 의결권, 선거권, 시설물 우선 사용 등은 조합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외에 이득이 된다고 하는 부분들에 대해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산립조합원 가입 자격인데 당해 구역안에 주소 또는 산림이 있는 산림소유자여야하고 당해 구역안에 주소 또는 사업장이 있는 임업인이여야 합니다.

     

    임업인의 범위는 3ha이상의 산림에서 임업을 경영하는 사람, 1년 중 90일 이상 임업에 종사하는 사람, 연간 임산물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사람, 종묘생산자로 등록된 졸미용 종묘생산자 등이 있고 산림부산물을 일정 규모 이상 하거나 대추, 호도, 밤, 잣, 표고자목 등도 일정 규모 이상 재배하는 사람입니다.

     

    가입 하는 방법은 가입하려고 하는 조합을 방문해서 가입신청서를 제출하면 되고 구비서류는 주민등록증과 임야대장 또는 임업경영내용 증빙서류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