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착한운전 마일리지 인터넷 신청
    잡학다식

    처음에 이름을 듣고서 착하게 운전을 하면 마일리지를 준다고? 마일리지를 받아서 어디에 사용하지? 착하게 운전 했다는 것은 어떻게 증명하지? 별 생각이 다들었었는데 이제는 친숙해진 것 중에 하나입니다. 자세하게 알아보면 나오겠지만 1년간 범칙금이나 과태료 받을 일이 없으면 착한 운전을 했다고 가정하는 것인데요.

     

    저는 운전을 정말로 살살 하는 편인데 100km/h인 고속도로에서도 거의 100km/h로 가고 110km/h 고속도로 에서도 110km/h로 가는 것 같습니다. 거의 웬만해서는 규정 속도를 어기는 일이 잘 없는데 요즘 도심은 30-50 제한이 많아서 이런 것들은 잠깐 정신을 팔면 속도가 넘어가는 경우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착한운전 마일리지가 생기자 마자 거의 바로 알았었고 주변 사람들 아무도 모를 때 신기하다면서 많이 알려줬었는데 1년마다 갱신을 했어야 해서 한번인가 두번인가 한 이후로는 전혀 한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여태까지 착실하게 모았다면 벌점을 많이 깎을 수 있었을텐데 말이죠.

     

    하지만 착한운전 마일리지 쌓인 것을 사용할 일도 한번도 없었기에 크게 아쉬운 점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직접 방문 신청만 가능했으나 이제는 인터넷 신청이 가능해지면서 사용하기가 한결 수월해졌네요.

     

    착한운전 마일리지 인터넷 신청

     

    이파인을 검색해서 경찰청 교통민원 2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광복절이 최근이였어서 그런지 광복절 운전면허 행정처분 특별강연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과는 관계가 없으니 교통민원24 홈으로 버튼을 클릭하여 넘어갑니다.

     

    상단의 운전면허/조사예약 - 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보안프로그램 설치와 로그인 창이 나오는데 이제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그 전에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천 내용은 무위반과 무사고로 나뉘는데 무위반의 경우에는 서약 기간 중에 운전면허 취소나 정치, 범칙금,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무사고는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하는 굩오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것 입니다.

     

    성공할 시에 착한 운전 마일리지가 10점씩 적립이 되고 실천 완수 후에는 서약서 재접수를 해야합니다. 운전면허 정지 처분 시에 누적된 마일리지만큼 벌점이나 정지 일수를 감경해주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면허 벌점 40점 이상이 될 경우가 잘 없기도 하지만 만약 억울하게 넘어간다고 생각을 하면 이 10점이 공제되는 것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1년동안 무사고나 무위반을 실천하지 못하더라도 다음날부터 또 재서약이 가능합니다.

     

    다시 신청으로 넘어와서 대상자확인을 하고 성명을 비롯한 개인정보 입력 이후에 신청 버튼을 누르면 신청이 완료가 됩니다.

     

    다만 신청시에 면허 상태가 정지 및 취소 상태가 아니여야 하고 이미 신청된 사용자는 신청이 불가능 하고 로그인이 반드시 필요하며 법인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서약서 발행화면에서 발행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oz report tool을 이용해서 서약서 출력을 할 수가 있는데 이걸 출력해서 사용 할 일이 있을까 싶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