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카카오페이 결제 방법
    잡학다식

    카카오페이가 처음 생겼을 때 기억으로는 삼성페이가 익숙하지도 않았고 당시에 삼성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지 않았기에 카카오페이에 큰 기대를 했었는데요. 당시만 하더라도 lg페이도 있었고 각종 페이류들이 나왔었지만 결국 살아남은 건 삼성페이 하나였고 나머지는 인터넷 결제나 바코드 결제 방식이였는데요.

     

    삼성페이도 처음에는 신기해 했던 것을 기억하면 카카오페이 결제는 아마 아직도 현실에서는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이 꽤 많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 또한 초반에 롯데리아나 편의점 같은 곳들에서 할인을 크게 했었기에 기억하고 있지 아니였다면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지갑도 시계도 사실상 악세사리 느낌이 되었고 휴대폰에 모든 것이 다 있기에 치장 용품 정도로 사용을 하고 있는데요. 신분증, 카드, 교통카드 등 otp나 보안카드를 제외하면 지갑이 전혀 필요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심지어 이제는 pc보다 모바일을 더 편해하는 분들도 계신 것 같네요.

     

    카카오페이 결제 방법은 인터넷에서 하는 것은 대부분 아실 거라고 생각을 하지만 아주 간단하게 첫번째로 설명을 하고 두번째는 현실에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방법들은 몇가지가 있는지 등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페이 결제 방법

    먼저 기본적으로 pc나 모바일에서 인터넷 결제로 카카오페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결제에서 카카오페이를 클릭한 이후에 카카오페이 qr코드를 찍거나 연결하여 등록한 카드 혹은 페이로 결제를 진행하면 되는데요.

     

    참고로 페이 포인트를 사용하려면 페이로 결제를 진행해야 하며 사용이 불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현실에서 결제를 할 때에는 카카오톡을 열어서 우측 하단의 점 3개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더보기 창으로 이동합니다.

     

    그 이후에 화면 상단에 있는 pay 부분에 결제를 클릭합니다.

     

    여기서부터는 캡쳐가 불가능 하기에 텍스트로만 설명할 수 밖에 없는데요. 결제를 클릭하자마자 보이는 바코드를 결제하는 사람에게 보여주면 내가 설정한 결제 수단(페이 or 카드 등)으로 결제가 됩니다.

     

    아니면 내가 qr코드를 찍는 방식도 있고 내가 qr코드가 찍히는 방식도 있습니다. 즉, 바코드와 qr코드 2가지가 있는데 내가 바코드가 찍히거나, qr코드를 찍거나 반대로 qr코드가 찍히는 방식입니다.

     

    사실 삼성페이를 사용하면 현실에서 카카오페이를 사용 할 일이 할인을 할 때 말고는 거의 없는 것 같은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온라인에서도 네이버페이가 적립율이 훨씬 좋아서 멤버십을 사용하고 있어서 카카페는 여기저기 조금씩 애매하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참고로 페이 머니의 경우 계좌를 연결해두면 0원이라고 해도 모자란 금액을 자동으로 충전해서 결제를 하는 방식도 선택할 할 수 있기에 저는 자동 충전을 해두었고 혹시 몰라서 카드도 하나 추가해두었습니다.

     

    예전에는 페이를 사용할 때 저에게 딱 맞는 10% 정도의 할인이 있어서 자주 사용했는데 이제는 그게 사라지면서 메리트가 저한테는 사라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이건 좋다고 생각하는데 여기만 있는 기능은 아니지만 멤버십 적립을 바코드 하나로 끝낼 수 있는데 여러가지를 합쳐놓은 기능이기에 의외로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

     

    내가 만든 바코드에 다양한 멤버십들을 연결하는 방식인데 여기저기 흩어진 것들을 한데 모아서 보면 적립하기도 편하고 적립된 것들 확인도 편해서 좀 더 잘 사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여기저기 적립된 포인트들만 모여도 가끔은 몇만원이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혜택 부분을 오랜만에 한번 둘러보았는데 저한테는 맞는 곳이 없었습니다. 상시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을 선호하는 편인데 가끔 가다가 1번씩 생각나는 것들은 대부분 지나고 나서야 겨우 생각이 나기 때문에 이번에도 둘러봤는데 저에게 크게 다가오는 건 없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