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과 2021년은 기존에 직장을 다니던 분들도 실업을 한 경우가 엄청나게 많았고 취직을 준비하던 사람들에게는 공채도 사라지고 채용 인원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줄어들었기에 모두가 힘들었던 때가 아니였나 생각이 듭니다.
주변에도 취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보면 어떻게 해야 하나 라는 고민과 최소한 1-2년이 더 늦어진다는 생각에 우울감에 빠진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그래도 괜찮아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물가는 오르고 있고 재산 가치는 떨어지고 소비 심리도 위축되고 있지만 작년이나 올해초를 생각해보면 지금은 훨씬 더 괜찮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청년 고용 지원금은 청년을 고용했을 때 회사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서 청년들의 고용을 촉진 시키는 정책들을 의미하는데요. 즉,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가지가 있고 현재 종료된 사업도 있고 재시행할 사업도 있으며 앞으로 예정되어져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현재 가장 알려진 것들은 청년 채용 특별 장려금,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청년 일자리 도약 자금 등이 있으며 전부를 살펴 볼 수는 없고 전부 다 볼 수 있는 기관 사이트를 알려드리고 그 중에서 몇개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고용 지원금
고용노동부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의 메뉴에서 정책자료 - 대상자별 정책 - 청년을 클릭합니다.
청년, 일할 기회 늘리기 부분을 보면 일자리 창출 및 자산 형성 지원 부분에 청년채용특별장려금과 청년일도리도약장려금이 청년 고용 지원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경우에는 청년이 돈을 모으는 쪽이여서 고용 지원과는 약간은 거리가 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청년 채용 특별 장려금의 경우에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인데요.
여기서 청년이란 만 15세에서 만 34세를 의미하며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이여야 하고 성장유망업종이나 벤처기업 등은 5인 미만이라도 지원이 가능하며 사행성이나 유흥 등 일부 업종은 제외가 됩니다.
지원 요건에는 1번부터 3번까지 모두 충족을 해야하는데 잠시만 살펴보면 기간 내 청년을 정규직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이며 사업주의 배우자나 4촌 인내의 친인척 등은 지원이 제외됩니다.
청년을 추가 채용한 이후에 연평균 기준 전체 근로자수가 증가해야하며 채용후 6개월, 12개월이 되는 날이 속한 달의 다음 달부터 3개월 이내 신청을 해야합니다.
지원 수준은 신규 채용 청년 1명당 연 최대 900만원을 1년간 지원하며 한달에 75만원씩 12개월로 해서 연 최대 900만원 입니다. 지원 한도는 기업당 최대 3명까지네요.
신청방법은 구비서류와 함께 고용센터 기업지원부서나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규모는 총 9만명이나 21년 한시 사업이였으며 비슷한 류의 사업을 또 하거나 아니며 해당 사업을 22년에도 할 것 같네요. 이런 것들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더 있습니다.
문의처는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와 홈페이지로 나와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