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b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잡학다식

    아파트 가격이 하늘을 모르고 올라가던게 엊그제 같은데 지금은 정말로 과열된 곳을 제외한다면 조금은 떨어진 상태고 분양권에 붙어있던 p도 거의 제로에 가깝게 가고 있을뿐더러 마이너스p인 곳들도 있다보니 아파트를 팔지도 사지도 않는 상태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도 시국 이전을 생각해보면 올라간 상태이긴 합니다만 그전을 적정이라고 생각한다면 기존의 가격을 향해서 가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가장 높았을 때가 40%, 50%가 올라간 상태였다면 지금은 10~20%정도가 올라간 상태가 아닐까 싶네요.

     

     

    아파트 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곳들이 몇군데 있기는 합니다만 kb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를 사용하는 이유는 많은 데서 kb를 이용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접근성이 높기도 하고 사용자가 많기도 합니다.

     

    아래에서 사진을 보면서 설명하겠지만 pc로 보는 것과 모바일 어플로 보는 것이 큰 차이는 없지만 모바일 어플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기능들이 몇가지 있기는 합니다. 꼭 필요한 기능은 아니여서 저는 pc로 보는데 밑에서 보고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kb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kb부동산을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예전에는 리브라던가 검색하기가 조금 어렵게 되어져 있었는데 이제는 직관적으로 변경이 되었네요.

     

    메인화면이 나오면 우측 상단에 있는 주소가 적힌 곳에서 돋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에다가 자유롭게 입력을 하면 되는데요. 주소도 괜찮고 아파트 이름도 괜찮고 지역도 괜찮으며 검색하고 싶은데로 검색하면 됩니다.

     

    저는 최근 손흥민 아파트로 유명한 트리마제를 한번 검색해보았습니다.

     

    트리마제가 몇세대인지, 총 몇개동인지, kb시새로 매매가와 전세는 얼마인지, 매매, 전세, 월세는 몇개가 올라와 있는지, 동별 매물은 뭐가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데요.

     

    우측을 보면 메뉴가 매물, 단지톡, 영상, 이미지, 검색으로 되어져 있는데 예전에는 같은 기능들을 말만 바꿔서 꿀매물이니 하면서 메뉴만 많았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적어도 다르게는 되어져 있네요.

     

    첫번째 메뉴인 매물을 클릭했을 때 최신순, 가격순, 면적순으로 나뉘어져 있고 같은 매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면적이나 동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도 있는데요.

     

    면적의 경우에는 전체면적을 클릭해서 내가 보고 싶은 면적을 선택하면 되고 동 역시도 전체동을 클릭하여 내가 보고싶은 동을 클릭하면 됩니다.

     

    매물중에 하나를 클릭하면 판매를 얼마에 하고 있는지, 여름에 관리비는 얼마가 나오는지, 겨울에는 얼마가 나오는지, 연 평균 관리비는 얼마인지가 나오며 이전에 거래된 동일 면적의 매물들에 대해서 가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단지톡을 클릭하면 로그인을 해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고 로그인 방법에는 휴대폰번호나 이메일도 가능하고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구글 등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단지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는데요. 각 사의 자체 기준에 따라서 리스트가 노출되기에 아래의 사진을 보면 설명이 바로 이해가 갑니다.

     

    그냥 단순히 해당 아파트의 이름을 유튜브에 검색하는 기능입니다. 다만 주소, 아파트 이름의 순서로 검색을 하기에 어떻게 검색 하냐에 따라서 먼저 나오는 영상이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kb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에서 이런식으로 검색이 되는 것을 알고 있다보니 아마 채널 운영하는 부동산들에서 이런식으로 영상을 올릴 것 같네요.

     

    이미지 역시도 구글에다가 검색을 하는 방식이고 여기서는 대부분 외관이거나 부동산들에서 운영하는 블로그의 사진 등이 보이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영상, 이미지, 그리고 아래의 검샊까지 필요한 기능인가 싶기는 하네요.

     

    검색 버튼은 네이버에 검색을 하는 방식인데 네이버 부동산을 통해서 실거래가를 조회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만 다르지 같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편한 곳을 사용하면 될 것 같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