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v3 lite 무료 다운로드
    잡학다식

    컴퓨터를 처음 접했을 때는 바이러스라는 단어 자체가 무섭고 개념도 없다 보니 무슨 일만 생기면 바이러스라고 했었고 바이러스가 어떤 경로로 감염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 아무런 지식도 없었는데요.

     

    사실상 10년전쯤 부터는 백신 프로그램이 저에게 필요 없다는 것을 느끼고 설치하지 않았고 컴퓨터는 결국 사용하는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기기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만한 일을 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 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렇다고 v3 lite같은 백신 프로그램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대부분은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에서 자체적으로 걸러내는 것, 윈도우 디펜더에서 막아내는 것 정도만 해도 괜찮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아주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것들만 막고 있지만 그 외에 저 수준으로 막아낼 수 없는 것들은 다른 걸로도 막기 힘들다고 생각이 들고 그럴만한 일도 만들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도 하나정도는 설치해두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하고 벌써 20년도 넘은 것 같은데 예전부터 개인에게는 무료 배포를 하고 기업에게는 유료로 판매를 했고 최근에는 개인에게도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순서대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v3 lite 무료 다운로드

    안랩을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안랩은 v3를 만든 회사의 이름입니다.

     

    상단의 메뉴에서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마우스를 올리면 하위 메뉴가 열리긴 합니다만 하위 메뉴를 클릭하지 않고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우측 하단에 있는 v3 lite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은 뒤에 설치가 가능하고 비회원도 가능하다고 적혀 있기에 별다른 회원가입이나 로그인없이 바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올리기보다 공식홈페이지를 추천하는 이유는 가장 안전하게 무료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곳이고 이런 습관들이 컴퓨터를 안전하고 깨끗하게 쓰는데 도움이 됩니다.

     

    v3 lite에 대한 설명들이 몇가지 나오는데 보안이 뛰어나다, 어떤 기능들이 있다 등의 내용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잘 읽어보지 않고 그냥 실시간 검사와 정기적으로 하는 상세검사 같은 것들만 잘 나오면 된다고 하는데요.

     

    가끔은 특정 프로그램들에서 없는 것도 생기는 듯한 느낌도 있고 방금 돌린 상태에서 바로 돌려도 또 나오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v3 lite 무료 다운로드는 위에서 끝이 났고 유료버전을 한번 살펴볼까 해서 제품구매 - 개인 - 온라인 구매를 클릭했습니다.

     

    그림만 봐서는 특별히 다른 점이 있을까 싶은데 일단 구매하면 3대 사용이 가능한 것 같고 몇가지 기능이 더 들어간 것 같기도 합니다.

     

    상품이 엄청 여러개가 있는데 가장 많이 팔리는 5개 중에서 1개는 맥 전용이고 1pc 전용이라서 제외를 하면 가장 저렴한 것은 명의도용차단이 4.4만원이고 스탠다드는 3.96만원, 주치의가 6.71만원, 자녀보호가 6.71만원이네요.

     

    위에 사진만 봤을 때는 스탠다드, 주치의, 자녀보호가 함께 있을 줄 알았는데 각각의 기능이였습니다. 물론 명의도용차단, 주치의, 자녀보호에는 스탠다드가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재계약 할인이 된다고 하기에 자세히 보기를 클릭해보았습니다.

     

    1년에 1회이니 6년을 사용하면 최대 할인이 되는데 할인율이 그렇게 크지는 않네요. 대략적으로 최대 20% 정도 할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기본 3대의 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추가 구매를 하면 6개까지 가능하다고 하네요. 저는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없을 것 같지만 이런게 있구나 하고 한번 구경해보았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