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장애인 증명서 인터넷 발급
    잡학다식

    최근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인해서 장애인들이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들 몇개를 보게 되었는데요. 예전처럼 어둡고 침침하거나 다큐같은 분위기가 아니라 그냥 일상적인 생활, 브이로그 그리고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궁금해할만한 점들을 다룬 영상들이 대부분이였습니다.

     

    마침 또 제 눈과 귀에 최근에 문제가 생겨서 병원을 계속해서 다니고 있는데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들의 유튜브를 보면서 관리를 잘 해야 겠다라고 생각 하면서도 나에게 저런 일이 닥치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었습니다.

     

     

    보통은 장애가 오기 전부터 시간 순으로 나열을 한 곳들이 대부분이여서 유튜브 시작 전 마지막은 대부분 장애 등급을 판정 받는 것이였는데요.

     

    장애 등급을 판정 받은 후에는 장애인에게 주는 혜택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을 받기 위해서 아니면 경우에 따라서 장애인 증명서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을 손쉽게 발급받을 수 있고 입력해야 하는 정보고 몇가지 없기에 간단하게 발급이 가능하네요.

     

    장애인 증명서 인터넷 발급

    정부24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홈페이지 메인화면 검색창에 장애인증명서를 검색합니다.

     

    신청서비스 2건을 보면 장애인증명서 발급과 영문 장애인증명서 발급이 있는데 둘 다 인터넷 발급이 가능하며 여기서 어떤 것을 선택하더라도 발급 창에 들어가면 한글과 영문 선택이 가능합니다.

     

    저는 장애인증명서 발급을 클릭했습니다.

     

    신청방법에는 인터넷, 방문, 우편으로 되어져 있으며 수수료는 없고 신청자격은 본인 또는 대리인이지만 온라인은 대리인 신청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발급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저는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했고 이용동의를 해야 하는 부분들을 동의한 이후에 비회원 신청 정보 입력란에 필수로 기재해야 하는 부분들을 입력합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장애인 증명서 인터넷 발급의 경우에는 어떤 것을 선택하더라도 한글, 영문을 신청창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또한 해당 증명서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위변조를 한다면 10년 이하의 징역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며 해당 민원사무는 본인확인이 필요하며 본인확인 인증이 되어야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름은 앞서 입력했던 정보의 이름이 그대로 적혀 있고 주소검색을 통해서 주소를 입력한 뒤에 수령방법을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하고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하면 장애인증명서 인터넷발급이 완료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