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건증 인터넷발급
    잡학다식

    예전에는 보건증이 아르바이트를 할 때 필수가 아니였고 대형 프랜차이즈 식당들에만 적용이 됐었는데 최근에는 어디를 가든 식당에 관련해서 일을 하려면 보건증이 항상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보건증이라는 것이 단순히 식당 운영을 위해서만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은 식당을 할 때 혹은 식당에서 일을 할 때 필요한 서류라고 생각을 하고 있죠. 최근 놀면 뭐하니에서도 식당 운영을 위해서 보건증을 미리 받은 사실을 방송에 낸 적이 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보건증이라고 부르고 아직까지는 대부분 보건증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만 보건증이라는 이름에서 건강진단결과서로 이름이 바뀐지 꽤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도 아직 보건증이 익숙하고 서류를 요구하는 사람도 보건증이라고 부르다보니 서류를 가져가는 사람들도 보건증이라고 이야기 하기에 우리는 아직까지 보건증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인터넷 발급이 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보건기관 방문 없이도 온라인으로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g-health를 검색해서 g-health 공공보건보털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홈페이지 상단에서 약간 아래쪽을 보면 증명서 발급 -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을 클릭합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보건증의 이름이 건강진단결과서로 변경이 되었네요.

     

    온라인 제증명 발급시스템에는 보건기관 방문 없이도 집에서 간편하게 온라인을 통해서 제증명 발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발급 가능한 제증명 종류에는 총 9종이 있으며 그 중에 하나가 보건증입니다.

     

    발급전 유의사항으로는 공공보건포털에서는 공공보건의료기관의 내역만 조회가 가능하고 사립병원은 제외가 됩니다. 본인확인을 위해서는 입력한 개인정보와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명의자의 정보가 동일인이여야 하는데 해당 내용은 아래에 한번 더 나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와 안내사항 고지를 확인 및 동의 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뒤에 공동인증서,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핸드폰 등으로 본인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본인껄로 해야합니다.

     

    제증명발급 서비스 이용 절차는 발급 안내 - 개인정보 입력 - 본인인증 - 제증명선택 - 발급완료의 과정을 거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