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학교 졸업증명서 인터넷발급
    잡학다식

    저는 대학을 갈 때 참 파란만장했던 것 같은데요. 원하던 학교의 원서를 내지 못했던 것도 있었고 수능을 평소보다 못본 것도 있어서 재수를 고민하기도 했고 원서를 냈던 곳들 중에서는 1순위로 원하던 곳이 안되고 다행히 2순위와 3순위만 합격을 했었는데요.

     

    그렇게 간 대학에서 물론 지금은 너무 만족을 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아쉬움이 없었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 같네요. 물론 대학이 맘에 들었다기 보다는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인연이 좋았기에 만족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대학교 졸업증명서를 예전에 발급 받으려고 한다면 직접 대학교를 찾아가서 무인 기계라던가 행정실에서 발급을 받았어야 했는데요. 그렇기에 타지에 사는 경우에 오랜만에 대학을 방문해서 친구들도 만나고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대학까지 가지 않더라도 근처에서 발급이 가능한데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집에서 신청을 하고 찾으러 가야합니다. 어디로 찾으러 가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을 하는데 누구에게나 그렇게 멀지 않은 곳입니다.

     

    대학교 졸업증명서 인터넷발급

    정부24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메인화면 중앙에 크게 있는 검색창에 졸업이라고 입력을 하고 검색을 합니다.

     

    신청서비스 6건 중에서 대학교 졸업증명을 클릭하면 되는데요. 만약에 졸업 예정 증명을 하고 싶다면 그 아래에 있는 대학교 졸업예정증명을 클릭하면 됩니다.

     

    하지만 어차피 신청 화면이 같고 신청 화면에서도 변경할 수 있기에 아무거나 선택을 하여도 됩니다.

     

    페이지가 이동되면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신청방법, 수수료, 구비서류, 처리시간, 신청자격 등은 신청을 하면서 다 알아볼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저는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했고 비회원으로 신청을 해도 일부 서비스는 공동인증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용동의를 하고 난 이후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졸업증명과 졸업예정증명을 선택하여 발급할 수 있는데요. 저는 졸업예정증명을 선택해서 들어왔기에 현재 졸업예정증명탭이 선택되어져 있네요.

     

    졸업 증명을 클릭하여 대학교 졸업증명서 인터넷발급을 진행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고 가까운 행정기관에 방문하여 수령을 하여야 하며 방순 시 수수료를 현금으로 결제를 해야합니다. 처리기간은 신청 후 근무시간 내 3시간이라고 하네요.

     

    대학교 혹은 대학원을 선택하고 학교를 검색하여야 하는데요.

     

    고려대학교라고 검색을 하니 고려대학교(고려대병설보건대학)가 나오네요.

     

    그래서 이번에는 고려라고 검색을 했더니 고려대학교(고려대병설보건대학)와 고려사이버대학교가 함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본인의 학교를 정확하게 찾으려면 대학교라는 이름을 붙이기 보다는 학교의 이름만 검색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겠네요.

     

    참고로 캠퍼스가 나눠져 있는 곳들도 당연히 다 나누어서 나오게 됩니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전공학과 부분은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되어져 있었는데요. 저는 졸업하고 학과명이 바뀌어서 학과명을 찾는데 시간을 좀 썼던 것 같습니다.

     

    발급은 국문과 영문으로 나뉘고 각각의 증명수수료는 1통에 1,000원입니다. 하지만 발급수수료 부분이 1통 x 0원으로 되어져 있죠? 이건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인터넷 결제가 아니라 방문을 해서 지급하기 때문이빈다.

     

    수령기관을 검색할 수 있는데 그 전에 수수료 합계에 수령기관에 지불하며 현금결제만 가능하다는 이야긱 있습니다. 대학교 졸업증명서 인터넷발급은 인터넷으로 신청을 하고 수령기관에 가서 현금으로 수수료를 지불하고 받아오는 방식입니다.

     

    수령기관은 ~청, ~동주민센터를 제외한 명칭을 입력하면 되는데요. 본인이 살고 있는 곳 주변에 가장 가까운 구청, 군청, 주민센터 등을 검색함녀 됩니다.

     

    저는 마포라고 검색을 했더니 마포구에 있는 모든 곳들이 다 나왔고 가장 위에 있는 곳은 마포구청을 의미한다고 보면 됩니다.

     

    수령기관을 선택하고 수수료 합계를 확인한 뒤 현금을 챙겨서 내가 지정한 수령기관으로 가서 수령하면 발급 완료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