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데스크탑칼 DesktopCal 다운로드
    잡학다식

    여러분은 메모 하시나요? 예전부터 메모의 중요성이라던가 메모를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는 말을 계속해서 들어왔지만 저는 메모하기 보다는 머리로 직접 기억을 했었는데요. 하지만 하루의 일정들이 많아지고 기억해야 하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메모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스마트폰 어플이 있고 pc와 연동이 되기 시작하면서 메모를 하기가 편해지고 어디서나 메모를 확인할 수 있었기에 시작한 것도 있었지만 한번 하기 시작하니까 안하는게 오히려 더 어색하고 정리가 되지 않는 것 같아서 정리하는 것이 습관이 되었습니다.

     

     

    데스크탑 캘린더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들 중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안다면 사용을 안하는 분을 찾지를 못했는데요. 다른 프로그램들 처럼 달력이 창으로 뜬다거나 위젯으로 뜨는게 아니라 바탕화면 자체에 달력을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면 단순히 달력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한 것과 뭐가 다르냐? 라고 생각이 들겠지만 그 배경화면에 삽입된 달력을 클릭하여 일정 조절을 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이 있어 아래의 사진을 보면서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데스크탑칼 DesktopCal 다운로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desktopcal.com을 검색하여 가장 위에 나오는 바탕화면 달력이라는 공식홈페이지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윈도우는 즉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고 윈도우 xp, 비스타, 윈도우7, 8, 10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휴대폰에도 해당 어플이 있으나 안드로이드만 지원이 되며 맥과 아이폰은 지원하지 않는 것 같네요.

     

    본래는 네이버 소프트웨어에서 다운로드 받는 것을 추천했으나 곧 서비스가 종료되기에 공식홈페이지를 찾아서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설치이후를 보면 바탕화면이 있고 거기에 달력이 들어가 있는데요. 바탕화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달력까지 사용하는 데다가 클릭하여 일정을 수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명에도 바탕화면을 두번 클릭하면 바로 일정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바탕화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거기에 달력을 삽입시키는 것이고 바탕화면 자체에서 바로 일정 수정과 추가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컴퓨터를 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바탕화면이고 그리고 그 바탕화면에 오늘의 일정이 정리되어져 있다면 하루를 편안하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죠.

     

    사람의 기억력은 한계가 있기에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일정을 정리해두면 오늘 내가 해야할 것들을 한눈에 파악하고 빠진 것이 있나 걱정할 필요없이 적힌대로만 움직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데스크탑칼은 본래 데스크탑 캘린더라는 정식 명칭이 있지만 영문명이 desktopcal이다 보니 사람들이 데스크탑칼이라고 읽기도 하는데요. 어떻게 부르건 의미만 통하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이 생길 때마다 메모를 하고 일정 정리를 하는 습관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일의 경중이나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를 따로 해놓기도 하고 전체 일정을 정리하기도 하는데 정리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본인에게 맞는 방식으로 정리가 되는 것 같네요.

     

    그밖에 데스크탑칼(desktopcal)에 대한 기능 설명들이 몇가지 나오는데 위의 사진에서 봤듯이 중요한 날짜들에는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프린트도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캘린더와 실시간 동기화가 된다고 합니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능 중에 하나가 바로 pc와 모바일의 연동이 되어서 동기화가 되는 것인데요. 폰으로 적었을 때 컴퓨터에 따로 옮겨야 한다거나 반대로 컴퓨터에 적은 것을 폰으로 따로 옮겨야 한다면 아무리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사용하지 않을 것 같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