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엑셀 띄어쓰기 빈칸 없애기, 공백과 스페이스 없애기
    잡학다식

    저는 모든 문서 작성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편한 것을 고르라고 한다면 메모장이였는데요. 메모장이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들어가도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가장 편하게 사용하는 것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작업을 해야하고 한다면 엑셀만한 것이 없는데 엑셀은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서 프로그램이 아예 다른 것으로 바뀌는 수준이기에 최근 들어서는 늘 사용하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하게 엑셀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유튜브에 강의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필요한 것들은 검색하면 바로바로 나오고 그 이외에도 괜찮은 기능 같아 보이는 제목을 보면 한번씩 보면서 따라해보기도 합니다.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엑셀 파일 전체 혹은 원하는 범위를 지정해서 띄어쓰니나 공백 혹은 스페이스를 없앨 수 있는데요. 이게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져 있는 것도 있고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것도 있는데 저는 컴퓨터에는 미설정이였으며 노트북에는 설정이였기에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서식으로 적용하여 한번에 할 수도 있고 범위 지정도 가능하기에 순서대로 방법들을 한가지씩 설명드릴테니 그 중에서 원하는 방법을 선택해 사용하면 됩니다.

     

    엑셀 띄어쓰기 빈칸 없애기, 공백과 스페이스 없애기

    먼저 사진은 제가 임의로 작성하였는데 이름과 메뉴 아래로 한글자 한글자 마다 모두 띄어쓰기가 되어져 있고 글자 사이에 공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엑셀 파일 전체를 수정하고 싶다면 아무 셀이나 한칸을 선택한 상태에서 ctrl + f를 누르면 되며 원하는 범위가 있다고 한다면 범위를 드래그 하여 선택하면 됩니다.

     

    ctrl + f를 눌러서 찾기 및 바꾸기 창이 나왔다면 바꾸기 탭을 클릭합니다.

     

    그 이후에 찾을 내용에는 스페이스 키를 1번 입력하고 바꿀 내용에는 아무 것도 적지 않은 다음에 모두 바꾸기를 누릅니다.

     

    저는 a1칸을 선택하여 엑셀 파일 전체를 바꾸고 싶었고 찾을 내용에는 공백을 의미하는 스페이스 1번, 바꿀 내용에는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서 이름과 메뉴 모두 띄어쓰기, 공백, 스페이스가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빈칸이 사라졌으나 너무 글자가 붙은 것 같아서 셀 사이즈에 글자를 맞춰볼까 하는데 스페이스로 하나하나 띄어서 할 수도 있겠지만 번거롭기도 하고 글자의 수가 홀수 짝수가 섞여 있기도 하기에 서식을 이용해볼까 합니다.

     

    셀 한칸에 균등분할하여 글자 넣기

    먼저 아무 셀이나 선택한 뒤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셀 서식으로 들어갑니다.

     

    셀 서식 창이 나왔다면 상단의 표시 형식, 맞춤, 글꼴, 테두리, 채우기, 보호 중에서 맞춤 탭을 선택한 뒤에 텍스트 맞춤에서 일반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균등 분할 (들여쓰기)를 클릭합니다.

     

    만약세 셀 사이즈가 세로로도 길다면 세로 또한 정렬이 필요하다면 정렬을 합니다.

     

    적용된 화면인데 김치찌개라는 글자가 셀 한칸에 딱 알맞게 균등하게 분할 되어서 글자가 벌어진 모습입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기능이 쓸 곳이 있습니다.

     

    이걸 이제 메뉴 전체에에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에 있습니다.

     

    김치찌개 셀을 선택한 상테엇 상단의 메뉴 홈 탭을 클릭한 뒤에 서식 복사를 누릅니다.

     

    그 이후에 복사된 서식을 붙여넣기 할 칸을 드래그로 선택하는데 된장찌개부터 도시락까지 드래그해서 선택해주었습니다.

     

    이름은 그대로 있으나 메뉴의 경우에는 3글자, 4글자 ,5글자, 6글자 모두 셀 한칸에 균등분배 되어서 보기 좋게 되었습니다. 해당 기능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읽기가 조금 불편할 수도 오히려 편할 수도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모든 셀을 저렇게 한다면 보기가 어려울 것 같고 이름이라던가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은 좋을 것 같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