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은 직장을 다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다 가입이 되어져 있는데요. 흔히 우리가 이야기 하는 4대가 되는 회사들이라는 표현 중에서 하나가 바로 국민연금입니다.
국민연금은 직장을 다니는 사람 뿐만 아니라 사업자도 가입이 가능하며 사업자도 아닌 사람도 누구나 다 가입이 가능합니다. 대신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 등으로 구분이 되어져 있기는 합니다.
누구나 들어가는 것이 국민연금이긴 합니다만 국민연금만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저 또한 노후 대비는 다른 방법으로 늘 해야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매달 돈이 빠져나가는 것은 알겠는데 내가 과연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복잡한 계산 말고 그냥 내가 매달 내는 돈만 딱 입력하면 대략적으로라도 간단하계 계산이 되는 계산기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했었습니다.
제가 지난번에 확인했을 때는 오류가 나던 간단 계산기가 지금은 정상적으로 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정확하게 국민연금 수령액을 알아보는 방법, 모의 계산 등 3가지 방법을 설명드릴까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을 검색해서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메인화면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탭을 클릭합니다. 자주찾는 민원서비스에는 내연금조회, 웹팩스 수신조회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탭을 클릭한 뒤에 페이지가 이동이 된다면 좌측에 내 연금 알아보기라는 창에서 바로 알아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먼저 인증없이 간단하게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가 있는데 모의계산과 간단계산이 있습니다.
모의계산의 경우에는 소득 및 가입기간을 원하는대로 입력하여 예상연금액을 확인하는 것이며 간단계산의 경우에는 앞서 이야기 했던 월 납입금을 입력하면 조회하는 해의 1월 1일부터 가입하여 10년 이상 납입 후 예상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일단 인증없는 것을 설명하기 전에 인증을 하는 것도 잠시 볼까합니다.
인증하고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도 있는데 예상연금액 조회, 장애/유족 예상연금액 조회, 가입/납부내역 조회 등 공인인증서를 통해서 인증을 하기에 정확하게 내가 얼마를 받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인증 없이 보는 모의, 간단을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은 노령,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없이 간편하게 보는 것인데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한 정확한 내용은 인증을 통해서 하면 되며 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기에 계산할 수 없으며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이며 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하에 계산이 됩니다.
기본정보에는 생년월일, 국민연금 최초 가입년월, 국민연금 최종 상실년월 그리고 예상소득상승률인데요. 현재 납부하고 있는 금액으로 계속 납부하는 경우에는 0%를 입력하면 됩니다.
소득정보에는 소득 시작년월부터 소득 종료년월을 입력하고 개월수와 월소득을 입력한 뒤에 추가해야 할 소득이 있다면 소득정보 추가 버튼을 눌러서 입력을 하면 됩니다.
크레딧 대상 입력에는 출산 정보 입력을 하는데 2008년 1월 1일 이전과 2008년 1월 1일 이후로 나뉘며 군복무 정보는 2008년 1월 이후 군복무 여부만 체크하면 됩니다.
그 이후에 결과보기를 클릭하면 내 국민연금 수령액을 모의로 계산하여 볼 수 있습니다.
간단계산은 훨씬 더 간편한데 빨간색으로 네모 쳐진 부분에 한달에 얼마를 내는지만 입력하고 예상연금액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저는 20만원으로 입력을 해보았더니 여기에 해당하는 소득기준은 220만원이라고 나오며 노령연금은 10년부터 40년까지 나오며 10년은 약 24만원, 40년 가입의 경우에는 약 96만원 이였는데 10년과 40년의 차이가 4배인데 금액은 4배보다 조금 더 적은 금액이네요.
그 밖에 장애연금, 유족연금 또한 급수나 기간에 따라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의계산에서 봤다 시피 자녀수나 군대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정말로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