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국민인 5,2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아마 이 중에서 노후를 걱정하지 않는 사람이 몇백만명이나 될 지 궁금한데요. 지금은 직업이 있고 돈을 버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70, 80세가 되었을 때 내가 지금의 삶 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지 아니면 지금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걱정을 한다면 걱정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지금의 괜찮은 삶을 포기하고 노후의 괜찮은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행복을 버리고 나중의 평범을 택하기도 하는데요. 어떤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모르겠지만 각자의 선택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주택연금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기준으로 해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인데요. 한 몫에 모두 받을 수도 있고 죽을때까지 나눠 받을 수도 있으며 반반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주택 연금을 들어갔는데 적당한 금액을 받지 못하고 사망했다면 상속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부동산이란 것을 가지고는 있지만 더이상 경제 활동이 불가능하고 죽을때까지 먹고 살야아 한다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중에 하나가 바로 주택연금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물론 주택의 가격에 따라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는 다르겠지만 해당 부분은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을 보면서 이야기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임시로 대략적으로 알아보는 방법과 지금 내 집의 시세를 정확하게 알아보고 난 뒤에 내가 받고자 하는 방법에 따라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예시를 먼저 보여주고 난 뒤에 수령액 계산으로 넘어가니 필요에 따라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네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주택연금을 검색해서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의 주택연금에 마우스를 올린다고 해서 하위 메뉴가 나오지 않습니다. 다른 사이트들과는 다르게 주택연금을 클릭해야 하위메뉴가 나옵니다.
아래의 메뉴가 나온다면 주택연금 소개에서 월지급금 예시를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예시 부분을 살펴보면 1번은 종신지급방식 중에서도 정액형인데요. 날짜 기준이 나와 있으니 직접 확인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3억원에 70세의경우 92만1천원이며 가장 높은 금액을 살펴보면 9억원에 80세로 322만9천원, 가장 낮은 것은 1억원에 50세로 12만 2천원입니다.
노인복지주택은 금액이 조금 다른데 전반적으로는 위에 보았던 것 보다는 낮다고 생각을 하면 될 것 같네요.
마지막인 주거목적 오피스텔이 나오는데 이게 가장 낮다고 보면 될 것 같네요. 하지만 노란색으로 표시해놓은 부분이 3억원에 70세인 것을 보면 대부분 이 나이쯤에 이 정도 가격의 주택을 가지고 찾는다고 생각해서 평균을 잡아놓은 것 같습니다.
9억원의 집은 50세는 조금 아쉽지만 70세만 되어도 먹고 살만한 정도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2번은 확정기간 혼합방식인데 이건 조금 다릅니다. 이게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을 하게 될테고 위의 표와 다른점을 살펴보자면 연령이 70세가 마지막으로 나와 있네요. 다만 위의 표 보다는 다소 금액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걸로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이 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를 봐야 합니다.
종신지급방식, 확정기간 혼합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지급방식 4개지를 모두 예시를 보고 나서 아래를 쭉 내리면 예상연금조회 바로가기 버튼이 있습니다.
주택소유자 생년월일, 배우자 생년월일, 주택구분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시세를 검색하는데 아파트의 경우 한국부동산원 시세가 있는 경우 그것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없는 경우 KB시세를 적용하며 최하층으 ㄴ하한가를 나머지 층은 하한가와 상한가의 평균가를 적용합니다.
지급방식은 종신, 종신혼합, 확정기간, 상환 우대지급, 우대혼합 등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아래에 설명이 있습니다.
월 지급금 지급 유형, 월 지급금 지급기간, 인출한도설정을 정한뒤에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다만 작성 당시를 생각하여 해당 결과는 2021년 2월 3일 기준 예상금액이라고 합니다. 실제 지급금이나 인출한도는 달라질 수 있다고 하네요.
지급방식을 간단하게 보면 종신은 평생 동안 받는 것, 확정은 선택한 기간 동안, 상환은 상환용으로 한도를 범위 안에서 찾아 쓰고 나머지를 평생 받는 것, 우대는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주택의 구분은 일반, 노인복지, 주거목적 오피스텔로 나뉘는데 해당 설명에 관해서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될 것 같네요. 다만 주거목적은 등기사항증며서상 용도가 업무시설 또는 오피스텔이면서 주거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지급유형은 정액형과 전후후박형이 있는데 정액형은 집값 하락에 상관없는 변화가 없는 방식, 전후후박형은 10년간 많이 받고 11년째부터 70%만 받는 것인데 수령 나이를 생각해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4, 5, 6번의 경우 주택가격, 최대인출한도, 인출한도설정금액인데 확인을 하면 될 것 같고 더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홈페이지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정보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직접 확인을 하는 것이 정확하고 더 정확한 것은 전화 문의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