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은 시국으로 인해 멀쩡히 다니던 직장을 잃은 사람들도 많았기에 당연히 취업을 하는 사람들은 새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웠던 한해였습니다. 요즘은 취업을 하기 위해서 스펙도 쌓아야 하고 공부도 해야 하기에 취업 준비하는데도 돈이 들어가는데요.
그렇다 보니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지원금을 주거나 취업 준비를 위해 듣는 교육들을 무료로 혹은 일정 부분을 지원해주는 제도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제도들을 모두 통합하고 생계지원을 추가한 것이 바로 국민취업지원제도 입니다. 통합 전에는 취업성공패키지, 청년취직지원금 등의 이름으로 있었는데 이것들이 모두 통합되어서 국민취업지원제도가 되었습니다.
결론부터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신청은 상시로 할 수 있으며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으로 나누어져 있고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에는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팝업창에 나오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이용안내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중 온라인 신청은 해당 페이지에서 참여신청을 클릭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저는 대상자가 아니였기에 상단의 자가진단 - 수급자격 모의 산정을 클릭해봅니다.
수급자격 모의산정이기에 1유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선택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인 본인의 연령을 선택하는 것에서 저는 18~34세를 선택했습니다.
신청인의 가구원 수를 선택하세요에서 저는 4인을 선택했습니다. 참고로 가구원 수는 수급자격 선정 기준과는 무관하며 수급자격 심사 시 재산, 소득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만 활용이된다고 합니다.
생계 수급자 여부는 아니오로 선택했습니다. 왜냐하면 1유형의 경우에는 생계급여 수급자는 기본적으로 참여할 수 없고 조건부 수급자는 2유형으로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신처인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 여부는 중위소득 50% 이하를 선택했습니다.
신처인 가구원 재산 합산은 3억 이하를 선택했습니다.
취업 경험은 100일 이상 또는 800시간 이상을 선택했습니다.
제가 선택한 항목들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 (비경제활동) 수급 대상자였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한다면 신청 전에 본인이 어떠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미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중위소득 부분이나 재산 부분을 잘 모르겠다면 해당 부분을 잘 읽어보고 1유형 혹은 2유형 중 어느 쪽에 속할지 정도만 가늠하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국민취업지원제도 수급 제외 대상이 있는데 몇가지만 살펴보면 1유형의 경우에는 즉시 취업이 어려운 사람, 생계급여 수급자, 구직급여 수급 중 또는 종료 후 6개월 미경과자 등입니다.
2유형의 경우에는 즉시 취업이 어려운자, 취업의사 없는자, 구직급여 수급중인자 등입니다.
재참여 제한기간은 국민취업지원제도의 혜택을 받았다면 1~3년 뒤이며 취업성공패키지나 청년취업지원금의 지원이 20년 12월 31일 이전 종료가 된 경우 참여가 가능하며 21년 1월 1일 제도 시행 당시 받고 있다면 지원 종료 후 6개월 동안 참여가 제한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