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공자에 대해서는 한번씩은 다 들어봤을 것 같지만 병역명문가에 대해서는 아마 생소한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생각한다면 대한민국의 대부분이 병역명문가일 것 같기도 하지만 병역명문가 조건을 보면 의외로 많은 곳이 혜택을 받지 못하겠구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단순히 나를 비롯해서 아버지, 할아버지 혹은 자녀나 손자의 수준이 아니라 꽤 광범위하게 포함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렇기에 병역명문가 혜택도 지자체별로 혹은 업종별로 받을 수 있는 것들이 꽤 나쁘지 않습니다. 평소에는 잘 보지 못했지만 관심을 가지고 본다면 의외로 실생활에 혜택받을 수 있는 곳들이 몇군데 있습니다.
2004년부터 매년 병역명문가 가문을 선정하고 모범 가문에게 표창하여 병무청에서 이를 챙겨주고 있는데요. 2020년도의 병역명문가는 1017가문으로 5222명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정말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병역명문가 조건
병역명문가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메뉴 알림마당 - 자주하는 질문 모음으로 들어갑니다.
총 3개의 글이 있는데 이를 확인하면 병역명문가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병역명문가 조건은 3대(조부와 그 손자까지의 직계비속)가 모두 현역복무 등을 성실히 마친 가문이여야하는데요.
'현역복무 등을 성실히 마쳐야 한다'라는 것은 가족 모두가 징집 또는 지원에 의하여 장교, 준(부)사관 및 병으로 입대를 해서 복무를 마쳤거나 국민방위군, 학도의용군 등 군인이 아닌 신분으로 6.25 전쟁에 참전한 경우를 뜻합니다.
그러면 궁금해 지는 것이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공익, 방위는 어떻게 될까 일텐데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안됩니다.
병무청에서는 군 복무를 성실히 이행한 사람이 자긍심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병역명문가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에 병역이행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복무기간이나 난이도, 형태등을 고려해서 사회복무요원 등 보충역으로 복무를 마친 경우에는 선정대상에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조화 신청 방법은 필요한 경우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병역명문가 혜택
상단메뉴 명문가 우대에 있는 것들을 확인하면 되는데 순서대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 지자체, 민간 시설 이용시 입장료나 주차료, 이용료를 면제 받거나 할인받을 수 있는데요. 지역별로 그리고 업종별로 우대 시설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일단 우대시설 리스트가 지역별로 정리되어져 있으며 우대기관명을 입력해서 검색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
지역별 리스트에서는 지역과 업종을 선택해서 지원기관을 확인한 뒤에 어떠한 병역명문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저는 업종별 리스트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이 좋았던게 공원이라던가 교육, 박물관, 유적지, 스포츠, 음식점 등을 따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물론 모든 지역에 다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병역명문가 혜택을 받아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곳들이 꽤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