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2021년 최저임금 계산
    잡학다식

    최저임금이라는 단어가 저에게 처음 기억에 남았던 때가 아마 3-4천원쯤이 아니였을까 싶습니다. 당시에는 pc방, 편의점 등에서는 최저임금을 챙겨주지 않는 것이 당연했었고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는 곳들은 대형 프랜차이즈들밖에 없었는데요.

     

    기억나는 곳들은 역시 롯데리아, 맥도날드, 피자헛 같은 곳들이였던 것 같습니다. 이번에 2021년 최저임금 계산을 찾아보면서 3-4천원 할때가 언제인지 봤더니 10년도 더 전의 일이였네요. 반대로 생각하면 10년 조금 넘는 사이에 최저임금이 거의 2배 이상 올랐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2020년은 모두가 힘들었던 때였고 그게 반영이 되었는지 2021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단 한번도 없었던 1%대의 인상율은 거의 오르지 않았다고 봐도 될 것 같은데요.

     

    2020년 기준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1,795,310원이였다면 2021년 최저임금 계산을 해보면 1,822,480원으로 27,170원이 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1년 최저임금 계산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 메뉴 최저임금제도 - 최저임금제도현황을 클릭합니다.

     

    연도별 최저임금액이 나오는데 최근 것만 살펴보자면 15년도에 5,580원이였는데 19년도에 8,350원이 되었으니 4년새에 3천원이 올랐습니다. 18년도와 19년도가 인상률이 10%가 넘어가다 보니 엄청나게 많이 오른듯하게 보이네요.

     

    2021년은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역대 최저 인상률인 1.5%이며 인상액은 130원입니다. 2020년 최저임금 8,590원과 2021년 최저임금 계산 8,720원은 아마 한동안 헷갈릴 것 같기도 하네요.

     

    연도별 최저임금 그래프가 나오는데 2009년에 딱 4,000원이였고 2배가 넘어가는 시점이 딱 10년후인 2019년의 8,350원이네요.

     

    그 전의 그래프들도 다 한꺼번에 합쳐서 볼 수 있다면 좀 더 다이나믹한 그래프가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인상률만 따지자면 2021년이 가장 적게 올랐으나 인상액으로 보면 2010년의 110원이 가장 적게 올랐네요.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에는 상단 메뉴에 고객마당 - 최저임금모의계산기를 통해서 2021년 최저임금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작성당시에는 2020년이라 2020년 기준으로 되어 있으며 2021년이 되어야 2021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계산이 됩니다.

     

    1번부터 6번까지의 항목들이 있으며 하나씩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근로시간은 소정근로시간에는 휴게시간과 연장, 야간근로시간은 포함되지 않으며 소정근로시간이라는 것은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정한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저는 계산을 위해서 일급을 선택했고 대충 입력을 하고 넘어갑니다.

     

    2번 기본급은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임금만 포함이 되며 연장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한 임금이나 연장, 야간 또는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들이 몇가지가 보이네요.

     

    저는 일급으로 2021년 최저임금 계산을 넣어보았지만 작성 당시 2020년이라 기준은 2020년으로 계산이 됩니다.

     

    3번 상여금은 기본급 외에 추가로 매일 지급받는 상여금이 있는 경우에만 입력을 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아무 것도 입력하지 않고 넘어갔습니다.

     

    4번 복리후생비 역시 기본급 외에 추가로 매일 지급받는 복리후생비가 있는 경우에만 입력을 합니다.

     

    저는 모두 0원으로 하고 넘어갔습니다.

     

    5번 기타수당은 임금이 아닌 금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역시 없다고 하고 넘어갔습니다.

     

    수급른로자 여부를 체크한 뒤에 최저임금 위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 안내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