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민연금 추납방법
    잡학다식

    국민연금 추납 제도는 추가납부의 줄임말로서 실직이나 건강 문제, 사업 중단, 군대 등의 이유로 연금을 납부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해서 추후에 납부를 하고 연금을 받는 제도인데요.

     

    국민연금은 얼마동안 그리고 얼마나 냈냐에 따라서 추후에 받는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가 돈을 낼 수 없었던 기간 동안을 추납하게 된다면 이후에 받는 연금의 금액이 늘어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추납방법에 앞어서 추납을 할 수 있는 요건이 있는데 일단 가입 이력이 있어야 하며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여야 합니다.

     

    국민연금 추납 금액에 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면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소득의 9%를 납부하게 되며 없는 경우에는 9~22만원 중에서 결정이 가능하며 불규칙한 경우에는 소득 금액의 9% 안에서 연금 관리공단과 협의해서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납을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는 그 중에서도 간단하게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가져왔습니다. 본인이 편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하면 될 것 같네요.

     

    국민연금 추납방법 1


    국민연금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 메뉴 전자민원 - 개인민원으로 들어갑니다.

     

    신고/신청을 클릭합니다.

     

    추납보험료 납부 신청을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추납방법은 반드시 개인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하며 사업장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면 서비스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개인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이후에 추납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추납방법 2


    두번째는 정부2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국민연금 추납을 검색합니다.

     

    신청서비스에서 국민연금 추납을 클릭합니다.

     

    신청방법에는 인터넷, 방문, FAX, 우편이 있으며 해당 방법은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처리 기간은 3일이며 수수료는 없으며 신청서의 경우 아래에 나오기 때문에 별도로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정확한 내용을 입력할 경우에는 민원이 취소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신청을 할 수있습니다.

     

    분할납부의 경우 추납기간에 따라서 월단위로 최대 60회 까지 가능합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를 입력하고 넘어갑니다.

     

    추납대상기간을 정하는데 몇년 몇월분부터 몇년 몇월분까지 몇개월인지 넣으면 되며 추가 혹은 삭제가 가능합니다.

     

    추납신청내역은 추납희망기간, 납부방법이 필수이며 가입 전 군복무기간의 경우 필요하면 입력을 합니다.

     

    구비서류는 추납신청서에 따른 확인서와 혼인관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있는데 파일첨부, 우편, 팩스, 방문중에서 선택하여 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령방법을 선택한 이후에 국민연금 추납을 완료하시면 추납방법은 끝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