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인민원발급기 위치
    잡학다식

    우리의 삶에 처음 무인 기계가 들어왔을때만 해도 '사람한테 가서 하면 금방인데 왜 굳이 무인 기계를 써야 해?'라는 인식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

     

    저만해도 처음 보는 기계를 만지는 것보다는 차라리 사람한테 가서 이야기만 하면 모든 일이 깔끔하게 처리가 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했었는데요.

     

    하지만 무인 기계가 삶 깊숙히 들어와있는 지금은 오히려 사람을 대면하지 않고 기계에서 간단하게 내 볼일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 것 같습니다.

     

     

    사람을 대신해 무인 기계가 하는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데 특정 서류에 한해서는 무인 민원 발급기를 통해서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서류를 뽑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인터넷 발급이 되는 서류들도 많죠.

     

    무인 민원 발급기 위치를 알아보는 방법은 2가지인데 첫번째가 좀 더 편하긴 합니다만 전체적인 무인 민원 발급기 위치를 전부 다 알려주지는 않아 만일 본인의 집에서 가까운 곳이 없다면 두번째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무인 민원 발급기 위치에 따라서 운영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밤 시간대나 새벽 시간대에 이용하는 분들은 24시간 운영하는 곳을 찾아가면 됩니다.

     

    무인 민원 발급기 위치 1


    첫번째는 카카오맵을 검색해서 들어갑니다.

     

    무인민원발급기라고 검색을 하면 지도상에 무인민원발급기 위치가 나오는데요. 지하철역에도 역마다 전부 있는 것은 아니고 주민센터, 우체국 등도 모두 있는 것이 아니기에 위치를 잘 파악한뒤에 가야합니다.

     

    또한 발급받을 수 있는 서류의 종류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가기 전에 확인이 필요하고 그렇기에 두번째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무인 민원 발급기 위치 2


    정부2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메뉴 고객센터 - 서비스지원으로 들어갑니다. 가끔 서비스지원 페이지가 들어가지지 않을때도 있는데 그럴때는 서비스지원을 우클릭해서 새 탭으로 열기 혹은 새 창으로 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좌측메뉴에서 서비스지원 - 무인민원발급안내를 클릭합니다.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을 시/도, 시/군/구, 읍/면/동으로 나누어서 볼 수 있는데 저는 보통 무인민원발급기 위치가 필요한 때가 밤이나 새벽시간대여서 시/도까지만 선택을 하고 시/군/구와 읍/면/동의 경우에는 전체로 한 뒤 운영시간을 살펴보는편입니다. 가까우면 좋겠지만 밤이나 새벽에는 운영하고 있는 곳만 있다면 찾아가야 하니까요.

     

    저는 시/도 까지 전체로 한 결과인데 총 4429곳의 무인민원발급기 위치가 나왔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위에 있는 것을 클릭해보았는데요.

     

    아쉽게도 이곳은 평일 09시부터 21시까지만 운영하며 주말은 이용이불가한곳이였습니다. 그리고 등기부등본과 가족관계(제적) 발급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편의기능으로는 발급기형태, 장애인키패드,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청각장애인 표지판안내, 점자라벨, 이어폰소켓, 촉각모니터, 화면확대기능, 휠체어탄사용자조작 등이 나와있습니다.

     

    한장 위에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같은 주민센터라고 운영시간이 다 같은 것이 아니며 위치에 따라서는 주말(공휴일)도 운영되는 곳이 있으니 잘 확인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