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가지고 있는 습관 중에서 좋은것을 고르라고 했을 때 3등안에 들어가는 것이 바로 가계부를 작성하는 일 인것 같습니다. 10대때는 용돈기입장이라는 이름이였다면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가계부라고 부르게 된 것 같은데요.
일단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는 한달에 몇십만원에서 많게는 몇백만원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내가 도대체 이 돈을 어디다가 사용했는지, 내가 진짜로 다 쓴게 맞는지 의문이 들어서 시작을 했었습니다.
당연하게도 결과는 제가 다 쓴게 맞았고 거의 대부분은 식비와 술값이였습니다. 특히나 식비에 비해서 술값은 거의 3-4배가 많았으니 제 지출의 거의 대부분은 술값이라고 해도 무방하겠네요.그리고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들인 습관이 바로 한달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휴대폰비, 교통비, 세금 등과 같은 비용과 한달에 용돈으로 사용할 금액 등을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정해놓은 용돈 안에서 한달을 생활하려고 하는데 아직까지도 쉽지는 않은 일인 것 같습니다.
가계부 엑셀 파일은 다양한 양식들이 있는데 어떤 것을 사용을 할 지는 본인의 선택이 되겠죠. 저는 일단 주차별로 적어서 월별로 따로 정리를 하는편인데 월별로 관리를 하고 싶으신 분들도 계실 것 같네요.
2020년 가계부 엑셀 파일 양식
저는 네이버 오피스 홈페이지로 들어갔습니다.
네이버 오피스 메인화면에서 홈, 워드, 슬라이드, 셀, 폼 중에서 셀을 클릭합니다.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가계부라는 부분에 엑셀 파일 양식으로 된 가계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크게는 주간, 연간, 월간, 순자산, 현금흐름표 등이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저는 연간가계부를 클릭했고 새로운 화면이 나오면 이 템플릿 사용을 클릭합니다.
연간 가계부의 경우에는 월별 가계부의 내용을 직접 옮겨서 2020년 가계부는 어떻게 되었는지 한달한달 채워 가면서 확인을 하는 용도가 될 것 같은데요.
기본적으로 식비, 주거/통신, 생활용품, 의복/미용, 건강/문화, 교육/육아, 교통/차량, 경조사/회비, 세금/이자, 용돈/기타, 저축, 미분류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건강과 문화부분이 합쳐져 있는 것을 제외하면 깔끔한 아이콘과 함께 분류가 꽤나 잘 되어 있고 평상시에 나가는 비용들은 거의 다 들어가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다음건 예산 목표 만들기인데요. 저는 사실 이런 방식보다는 통장을 나누어서 제가 목적을 가지고 정해놓았기에 만약 고정비에 들어있는 돈은 여태까지는 단 한번도 꺼내서 썼던 적이 없습니다. 월급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고정비 통장에 나가야 할 부분을 떼어놓고 이번달의 일정을 보고서 제가 한달동안 쓸 용돈을 빼고 유사시에 쓸 돈을 조금 뗀 뒤에 나머지는 전부 저축을 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삶의 패턴도 조금씩 바뀌는 것 같은데요. 내가 쓴 돈들을 보면서 이 부분을 줄여서 다른 부분에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가장 큰 것은 역시나 술값을 줄여서 식비나 의복, 미용에 좀 더 사용을 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주간 가계부의 경우에는 7일로 나누어져 있고 이달의 나의 자산과 수입, 지출이 5페이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사진상에는 1/5만 나와있지만 주간 가계부는 총 5장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가면서 사용하고 주간에 있는 정보를 월간으로 직접 옮기거나 아니면 월간쪽 페이지를 복사해서 수식 변경을 직접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가계부 엑셀 파일 양식을 찾는 분들중에서 엑셀을 아예 모르는 분이라면 수정해서 사용하지 못하지만 엑셀을 알고 계신 분들은 수식을 수정해서 사용하면 좀 더 본인에게 맞는 가계부 엑셀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직접 처음부터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귀찮아서 저도 기본적인 양식 정도는 만들어져 되어 있는 것을 찾게 되네요.마지막으로 현금흐름표는 가계부를 작성한다면 딱히 필요없을 것 같긴합니다만 필요에 따라서 가계부 보다 오히려 현금흐름표와 같은 양식들이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엑셀 가계부 양식 파일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식에 의한 자동계산이 가장 클 것 같은데요. 저는 아주 예전에는 수첩을 사용했었고 한동안은 어플을 사용했으나 결국 엑셀 파일을 사용하게 되는 것은 필요에 따라서 내가 수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