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간제]온누리상품권 10% 할인
    잡학다식

    4월 20일부터 온누리 상품권이 10% 할인에 들어갔습니다. 실제로 특정 기간에 온누리상품권은 10% 할인을 몇번씩 한적이 있었는데요. 본래는 1만원권을 구매하는데 5% 할인을 해주어 9,500원에 구매를 해야 하는데 지금은 9,000원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시장에서 모든 물건을 구매하는데 10%를 할인 받는다고 생각을 한다면 온누리상품권은 메리트가 있는 것이고 모든 것을 대형마트에 가거나 인터넷으로 주문을 한다면 사실 메리트가 없는 것 같은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이용 비율이 거의 반반정도가 되며 특히나 그날 그날 해먹는 음식들의 경우에는 무조건 시장에서 구매를 하고 시장 내의 규모가 어느정도 있는 마트들도 사요이 가능하기에 지금도 잘 사용하고 있는데요.


    엄청나게 사놓고 쓰는 편은 아닙니다만 필요할 때마다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지금 10% 할인이 들어간다고 해서 조금 많이 구매를 미리 해 놓을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할인에서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들이 있기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풀도록 하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10% 할인


    전통시장 통통을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온누리상품권 - 자료실로 들어갑니다.



    검색하는 부분에 10%를 검색합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온누리상품권 특별 판매 운영 안내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지류상품권(종이상품권)의 경우에는 개인 할인 구매 한도가 100만원, 할인율이 5%에서 10%로 올랐으며 기간은 20년 4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참고해야할 사진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는데 반대로 줄어들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놓았습니다.


    모바일상품권의 경우에는 구매 한도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늘었으며 할인율은 특별할인판매로 10%이며 3월 9일부터 끝나는 기간은 미정입니다.


     

     온누리 상품권 구매처 찾기



    상단의 온누리상품권 - 구매지점찾기로 들어갑니다.



    지도에서 선택을 해도되며 시/도와 시/군/구와 은행명을 선택해도 되는데요.



    저는 가장 위에 있는 서울 종로구에 있는 모든 은행을 검색했습니다.



    총 80개의 구매처가 나오며 은행도 있고 우체국도 있습니다. 하나의 구에 80개의 구매처가 있다고 생각하면 구매하기에 접근성이 어렵지는 않을 것 같네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찾기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포찾기로들어갑니다.



    마찬가지로 지도로 선택하거나 검색이 가능한데 역시나 가장 위에 있는 서울시 종로구 전체를 검색했습니다.



    별도의 창이 뜨며 구매점포들이 나오는데 시장 내의 거의 대부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곳들은 사용가능 마크가 붙어 있으며 구매전에 가게의 사장님이나 직원들에게 사용이 가능하냐고 물어보면 될 것 같네요.


     

     온누리상품권 10% 할인 세부내용


    최대 10% 할인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만 모바일은 20년 12월 31일까지이며 종이(지류)상품권은 10% 할인이지만 5,000억원 한도 소진 이후에는 5%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구매전에 할인율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3월부터 6월까지 소득공제율이 40%에서 80%로 확대가 된다고 하네요.



    모바일 상품권에 관해서도 설명이 나와 있긴 한데 의외로 모바일 상품권은 사용처가 지류나 전자에 비해서 절반도 안되기 때문에 저는 종이 온누리상품권 10% 할인이 가능할 때까지는 종이를 구매하다가 그 이후에 모바일 구매를 고려해볼 것 같습니다.


    모바일의 경우에는 20년 내내라고 나와있긴 하나 역시나 예산 상황에 따라서 할인율이 달라질 수 있기에 구매 전에 할인율 확인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