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적금을 처음 알아볼 때 거의 대부분의 적금들이 한달에 넣을 수 있는 금액의 최대한도가 정해져 있다는 것에 놀랐었는데요. 아무리 많아봐야 한달에 100만원까지 밖에 넣지 못했기에 자연스럽게 적금을 2개 혹은 3개씩 만들어야 하다보니 정기적금 이율 높은 곳에 하나만 만들어서 자유적립으로 넣고 싶은 제 스타일과는 맞지 않았는데요.
한달에 100만원씩 12개월을 넣는다고 해도 3% 이율에 세후 16만원대의 이자를 받게 되는데 이런걸 제가 주로 사용하는 은행이 아닌 이율이 높은 상품이 있는 은행들의 계좌를 2개 혹은 3개씩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게 느껴졌는데요.
결국에는 적금은 별도로 들지 않고 1달짜리 정기예금을 넣고 한달뒤에 이자가 붙어서 나오면 월급을 합쳐서 다시 1달짜리 예금을 넣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요. 지금은 금액이 크지 않아서 이런 식으로 하고 있지만 나중에 금액이 커지고 난다면 또 어떻게 이 돈을 모으면서 굴려야 할 지 한번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정지적금 이율 높은 곳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2가지 방법을 설명드릴테고 여기에 시중은행들의 모든 정기적금의 상품이 나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알아봤던 적금은 없더라구요. 그러니 은행마다 사실 따로 확인해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 같습니다.
정기적금 이율 높은 곳 1
모바일 네이버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pc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m.naver.com으로 들어가야 하며 휴대폰으로 네이버를 들어가시는 분들은 별도로 주소 입력이 필요없습니다.
정기적금 금리비교를 검색하여 정기적금 이율 높은 곳을 확인해봅니다.
가장 처음에는 전국의 지역에 월적립 10만원을 기준으로 12개월간 넣은 내용이 나오는데요.
저는 지역을 서울특별시 시군구는 전체로 선택을 했습니다.
월적립 금액은 100만원으로 했는데 아래 결과를 보시면 알겠지만 금액을 크게 잡으면 이율이 높은 상품들이 보이지 않기에 10만원으로 검색을 일단 해서 찾아보는 것이 나을수도 있습니다.
12개월, 가입방식이나 가입제한은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검색했더니 아까와는 다르게 가장 높은 정기적금 이율이 2.9%로 변했습니다.
아까는 대구은행에 있는 상품이 최대 6%가 넘는 이율로 가장 높았으나 10만원까지만 가능한 것이였고 심지어 조건도 너무 까다로워서 저는 안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전체로 한 경우에는 저축은행들도 전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니 본인이 생각하는 바에 따라서 전체, 은행, 저축은행, 신협 등을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특이한점은 새마을금고나 수협, 축협은 저축은행으로 들어갔는데 신협은 따로 나와 있네요. 신협과 네이버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 걸까요?
정기적금 이율 높은 곳 2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이곳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곳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소비자포털 - 금리/수수료 비교공시로 들어갑니다.
금리/수수료 비교공시에서 예금상품금리비교 - 적금금리로 들어갑니다.
저는 은행 전체를 선택했고 정액정립식, 단리, 12개월로 검색을 했습니다.
해당사진은 기본금리 기준으로 12개월 가장 높은 결과를 보는 것인데요. 개월수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개월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최고우대금리 12개월 정기적금 이율 높은 곳 순서로 보는데 6%와 4.3%가 보이네요. 해당 내용은 네이버에서는 보지 못한 내용이니 여러군데를 확인하고 사실상 시중은행들은 전부 다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긴 합니다.
아니면 정기적금을 검색해서 뉴스를 다 살펴보는 것도 이율 높은 곳을 확인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2020년초였나요? 하나은행에서 5%대 적금이 나왔을 때 기사도 엄청나게 많이 나왔었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바로 알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