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0년 하이브리드 보조금
    잡학다식

    자동차를 구매할 때 항상 고민했던것이 바로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를 사는 것에 대한 고민이였는데요. 차는 굴러만 가면 되고 가격대와 연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했기에 저는 결국에는 유지비가 얼마나 들어가느냐가 선택하는데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차를 구매할때는 첫차이기도 한데다가 당시에 하이브리드는 아직 제가 사용하기에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생각을 했기에 선택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전기차도 괜찮을 것 같고 하이브리드도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보조금이 나오는 차량으로 선택을 한다는 생각이였고 얼마나 나오느냐, 연비는 얼마나 되느냐 결국에는 내가 1년에 몇 km를 타고 기름값과 비교했을 때 언제부터 이득을 얼마나 볼 수 있느냐 였는데요.




    보조금은 사실 매년 바뀐다기 보단 일정기간마다 변경이 되지만 새해가 되면서 달라진 부분들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애초에 처음 하시는 분들이라도 어떤 차량에 하이브리드 보조금이 나오는지, 얼마나 나오는지, 내 차는 신청이 가능한지 등 조회가 가능합니다.


    어떤 장점이 있고, 어떻게 신청하고, 얼마나 주는지 등 순서대로 하이브리드 보조금에 관련해서 설명들을 적어놓았습니다.


    2020년 하이브리드 보조금



    하이브리드 보조금을 검색해서 친환경차 종합정보 지원시스템으로 들어갑니다.




    우측의 하이브리드차 구매보조금을 클릭합니다.



    일반 보조금 지원 대상차량 먼저 선택했는데요.



    기아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아 K5 2.0GDI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토요타 프리우스 트라임(PRIUS PRIM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현대 소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SONATA PLUG-IN HYBRID)

    현대 아이오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한국지엠 CHEVROLET VOLT 플러그인


    이렇게 6대인데 작년에 봤을때는 더 있었던 것 같으나 기분상 줄어든 것 같습니다.



    다음은 신청을 클릭해봅니다.



    보조금 지원 대상여부 확인을 클릭합니다. 아직까지 2019년으로 되어 있고 수정이 안되어 있네요.



    차대번호 17자리를 입력해서 조회가 가능한데요.



    2020년 하이브리드 보조금 사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매하여 환경도 살리고 경제도 살리는 탁월한 선택이라고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차량은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하게 보도록 하고 보조금 지원금액은 플러그인 500만원이며 세제혜택은 별도라고 하네요. 개별소비세와 교육세가 최대 130만원, 취등록세가 최대 90만원, 합계가 720만원이긴 합니다만 어디까지나 최대 금액이긴 합니다.




    보조금 지원대상은 CO2 배출량이 50g/km 이하이며 1회 충전주행거리 30km 이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입니다.


    신규로 보조금 지급대상 하이브리드자동차를 구매하고 국내에서 자동차를 등록하여야 하며 적용일은 2020년 1월 1일 이후 출고된 차량의 구매자부터 적용하며 출고일은 자동차제작증상의 양도연원일을 말합니다.



    신청방법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홈페이지에서 신청은 접속, 인증, 신청, 접수, 수령의 단계를 거치며 우편 신청의 경우 서류 준비, 주소 확인, 등기 우편 제출, 접수, 수령입니다.



    많이들 물어보는 질문 2가지를 가져왔는데 하이브리드 보조금 접수 신청을 하고 며칠이나 걸리느냐는 질무인데 소요기간은 최대 30일이며 일반 하이브리드는 50만원,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500만원이며 2015년 9월 1일 이전 계약자는 100만원입니다.



    리스, 렌트카, 중고차, 부활차도 보조금 신청이 가능한가도 궁금해하는데 리스와 렌트카는 자동차등록증 상의 소유주만이 신청하고 지급받을 수 있으며 중고차는 신규로 등록한 대상차량만 신청과 지급이 가능하기에 불가능하고 부활차는 신청이 가능하나 시기와 방법은 1661-0970으로 연락하여 알아봐야 한다고 하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