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로납부는 지로를 통해서 세금이나 공과금을 내는 일을 얘기하는데요. 사전을 찾아보면 지로는 giro로 영어이고 납부는 納付로 한자입니다. 영어와 한자가 섞인 단어는 또 처음보는 느낌이네요.
저는 예전에 이런 부분과 관련이 없는 나이때에는 지로납부라는 것이 종이지 자를 써서 종이로 된 납부 같은 느낌의 뜻일줄 알았으나 실제로는 전혀 달랐습니다.
지로는 은행이 지급인의 예금계좌에 있는 돈을 수취인의 예금계좌에 넣어 결제를 하는 제도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현금을 주고 받는 것이 아니라 금융기관의 예금계좌를 통해서 돈을 주고 받아 결제하는 방식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지로납부를 위해서 은행을 방문하기도 하는데 인터넷으로도 지로납부가 가능하며 보통은 지방세나 전기세, 전화요금, 과태료 등을 납부하기 위해서 많이들 사용하시죠.
인터넷지로 통합납부서비스 이용방법
인터넷지로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금융결제원의 통합납부서비스에서는 인터넷지로, 비브지로, 카드로택스가 가능하며 지방세, 국고금, 전기/전화요금, 국세, 관세, 경찰청 과태료 등의 납부가 가능합니다.
지방세 기준으로 인터넷지로를 클릭합니다.
지방세를 클릭합니다. 사진에 보이는 바로납부 서비스에서 납부하셔도 같은 과정입니다.
행정구역을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 간편납부번호, 전자납부번호 중 본인이 입력 가능한 것을 입력한 후에 존회를 합니다.
이렇게 납세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결제수단을 선택한 뒤에 납부하기 혹은 예약납부를 하면 되는데 결제수단은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가 있으며 해당 화면은 계좌이체를 선택했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간편결제의 경우 예전에는 페이팔을 이용해서 가능했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결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각종 페이들을 이용하는데 업체마다 원하는 페이가 다 달라서 페이만 5-6개 넘게 가입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로 통합해서 결제가 된다면 정말로 편해질 것 같기는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