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직을 하고 주택청약에 가입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 것이고 최대한 일찍 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텐데요. 청약 점수 계산하는 방법이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수 그리고 청약통장 가입기가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청약에 당첨이 되면 어떤것에 당첨이 되느냐에 따라서 돈을 벌 수 있으며 본인이 직접 사는 경우에도 분양을 받아서 들어간다면 너무 괜찮기에 직장을 처음 가진 사람들은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주택청약 가입입니다.
저는 돈을 벌기 전부터 주택청약에 가입을 미리 해서 적은 금액을 매달 넣어두고 있었습니다. 주택청약에 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빠르게 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최근 주변에 청약에 당첨된 사람이 2명이나 있는데다가 그 위치가 상당히 괜찮아서 적어도 몇천만원 만일 가지고 있는다면 계속해서 값이 올라갈 것 같은 곳이였습니다.
청약 점수 계산기를 통하여 내 청약 점수를 알아보는 방법과 점수 계산을 어떤 식으로 하는지 계산 방법을 알려드리는 순서로 가겠습니다.
청약 점수 계산기
주택 도시 기금을 검색해서 해당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고객서비스 - 내집마련마법사 - 청약가점계산마법사로 들어갑니다.
제 청약신청 자격을 확인하기 위해서 순서에 따라서 총 6개에서 8개의 선택을 하시면 되는데요.
1번은 민영주택인지 국민주택인지, 2번은 만 19세 이상이거나 만 19세 미만의 세대주인지, 청약 신청하시는 분의 청약순위가 1순위에 해당 하는지, 청약 신청하는 사람(배우자 포함) 현재 주택 소유 유무, 과거에 주택 소유 유무, 청약 신청 하는 사람이 배우자가 있는지 까지 선택을 했더니 저는 7번과 8번으로 넘어가지 않고 선택이 끝났습니다.
입주자 모집공고일과 청약통장 가입일을 입력하고 생년월일, 주택소유수, 세대주 여부를 선택한 뒤에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
저는 현재 44점이 나왔으며 만점이 32 + 35 + 17 = 84점이니 거의 중간정도 되는 점수를 받았네요.
무주택 기간이 길 수록, 부양 가족이 많을 수록,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길 수록 점수를 더 많이 받는데 어떤 기준과 구간에 따라서 점수가 몇점인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 점수 계산 방법
부동산114를 검색해서 해당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다른곳이여도 관계 없으나 저는 이 곳을 선택했습니다.
우측의 부동산 계산기를 클릭합니다.
하단의 기타 - 청약가점제로 들어갑니다.
무주택기간은 1년 미만 2점부터 15년 이상 32점까지 구간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저는 무주택 기간을 10년 이상 ~ 11년 미만으로 22점을 받았었습니다.
부양가족수는 0명으로 5점을 받았으나 6명 이상의 경우 35점이라는 점수를 얻을 수 있네요.
가입기간은 6개월 미만 1점부터 15년 이상 17점까지 이며 저는 일찍 가입을 해두었기에 17점 만점을 채울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부양가족수가 0명이라 최저점을 받았기에 44점은 그렇게 높은 점수는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보통 60점이상이 되면 높은 편에 속한다고 하는데 무주택 기간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배우자가 생겨 부양가족 수가 늘면 아마 60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