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위험물기능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실기, 기출문제
    잡학다식

    위험물기능사는 위험물기능장과 위험물산업기사와 헷갈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위험물의 범위가 엄청나게 넓지만 화학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이 위험물의 분류에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연성고체, 산화성고체 및 액체 부터 제조소, 옥내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등 각종 위험물들의 저장, 취급, 운반, 운송 기준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이 자격증이 쓰이는 곳들이 꽤 여러군데 있지만 도료, 고무, 금속, 염료부터 시작해서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생각보다 이 자격증을 요하는 곳이 많습니다.


    실기의 경우에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필기는 생각하시는 것 보다 훨씬 쉽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유는 필기 기출문제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시험일정, 응시자격, 시험정보 그리고 기출문제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위험물기능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큐넷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자격증 시험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기술자격시험 - 자격정보 - 국가자격 - 국가자격종목별상세정보를 클릭합니다.


    메뉴 개편이 꼭 필요하다 느껴 지는 것이 우측에 있는 저 전화 또는 문자상담 부분과 메뉴가 겹쳐서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속히 수정을 해야겠네요.



    우측 상단의 시행종목명에 위험물기능사를 검색합니다.



    정확하게 검색을 했기에 위험물기능사 딱 하나만 나오네요 클릭합니다.



    기능사 시험이 1년에 딱 4번밖에 치뤄지지 않네요. 저는 당연히 상시시험일거라 생각을 했는데 정기 시험으로 1년에 딱 4번 치뤄지며 작성일 기준으로 이미 1회 시험은 지나갔습니다.


    2020년 정기 기사 4회 시험은 일부종목의 CBT 도입을 위해서 시스템 개편 중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4회 시험일정 및 시행종목은 공지사항의 2020년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공고를 확인해야 한다고 하네요.


    다만 시험일이 딱 하루인 것이 아니라 7일간 시험을 치는데 원서 접수를 한 사람들이 해당 기간 내에 가서 시험을 치고 오면 됩니다.


    원서접수 시간은 첫날 10:00시부터 마지막날 18:00까지이며 합격(예정자)발표는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시험 수수료는 필기 11,900원, 실기 27,400원이며 출제 기준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출제기준 파일이 있습니다.



    해당 자격은 과정평가형으로도 취득을 할 수 있는데 해당종목을 운영하는 교육훈련기관이 있어야 가능하며 NCS 능력단위를 기반으로 설계된 교육, 훈련과정을 이수한 후 평가를 통해서 국가기술 자격을 부여하는 새로운 자격입니다.



    합격률이 그렇게 낮지는 않네요. 필기는 2012년부터 18년까지 평균 32.3%이며 합격률은 매년 오르고 있고 실기 합격률은 40.4%로 늘었다가 살짝 줄어드는 추세이긴 하네요.



    위험물기능사 기출문제



    comcbt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아마 국내에서 시험을 치는 자격증 기출문제는 거의 다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ctrl + f를 눌러서 위험물을 검색해서 위험물 기능사를 클릭합니다.



    2020년부터 출제기준이 달라졌지만 크게 달리진 점은 없을 뿐더러 해당 시험은 문제은행식 시험이기에 기출문제가 곧 시험문제입니다.


    문제은행식이란 만약 1회 시험에 50문제를 친다면 500문제나 1,000문제쯤 만들어 두고 여기서 50문제씩 골라서 내는 방식이기에 나왔던 문제가 똑같이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기출문제 푸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험물 관리라는 이름에 맞지 않지만 문제은행식 시험들은 기출문제의 문제와 답만 외워서도 필기 시험 통과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아마 생각해보건데 기능사 시험이여서 그런게 아닐까 싶네요.


    실기 기출문제의 경우 유튜브에 위험물기능사 실기라고 검색하시면 해당 영상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