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카페가 생긴지도 벌써 20년이 넘어가고 있는데요. 처음에는 전 국민이 이메일 하면 한메일을 사용하고 있었고 카페 하면 다음 카페 밖에 없었기에 다들 사용을 했었는데 온라인 우표제를 실시하면서 하락세를 걷고 네이버가 떡상하게 되면서 다음은 사실상 쇠퇴의 길로 들어섭니다.
다음 카페는 너무나 불편했고, 사용자 편의를 신경쓰지 않았으며 느렸습니다. 다음 카페에 댓글 기능이 2002년에 처음 생겼는데 이때는 이미 모든 커뮤니티 사이트들에서 댓글은 일반적인 것이였죠.
참고로 아직도 다음 카페는 모든 부분에서 네이버의 하위 호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카페만요.
아무튼 오류가 너무 많아도 너무 많은 이 다음 카페를 이용하는 도중에 이번에는 파일첨부가 안되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 브라우저 사용자 마다 해결방법이 조금씩 다르고 오류도 너무 여러가지라서 일단 포괄적인 해결방법들을 몇가지 알려 드리고 상황에 따라서 갈까 합니다.
다음카페 파일첨부 오류
일단 오류의 종류를 간단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면
-아예 파일 첨부 창이 뜨지 않는 경우
-파일 첨부 창까지는 열리지만 파일 추가 버튼이 안보이는 경우
-파일 추가 버튼까지는 눌리지만 갑자기 창이 닫히는 경우
-파일 추가 창이 닫히지는 않지만 먹통이 되는 경우
아마 이 4가지 오류중에 다 있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첫번째는 말로 간단히 해결을 하고 넘어가면 파일 첨부 창은 팝업창이기 때문에 팝업창 금지 해제를 해주셔야 합니다. 보통은 익스플로러나 크롬을 쓰시기에 주소창 우측 부분을 잘 보시면 팝업 해제 버튼이 있습니다.
나머지는 플래시 플레이어 오류거나 브라우저 자체문제라서 한가지씩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검색해서 해당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혹시나 크롬을 쓰시는 분들중에 이 창이 뜨는 경우가 있을텐데요. 다음 파일첨부 추가창에서도 마찬가지로 이걸 허용해 주시면 파일 추가 버튼이 안보이는 경우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창이 안뜨더라도 이 버튼을 클릭해서 허용을 한다면 파일 추가 버튼이 보입니다.
저는 현재 플레시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빨간점 3개가 찍혀 있는 부분이 설치 버튼이 보이지 않는데요. 만약에 설치가 되지 않으셨다면 먼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설치부터 합니다.
설치가 되어있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를 하셔야 하는데요. 그 전에 일단 사용방법 먼저 간단히 설명하고 업데이트로 넘어가겠습니다.
앞서 잠깐 설명 했던 부분인데 인터넷 주소창 왼쪽에 자물쇠 모양 또는 i 표시를 클릭하여 플래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어야 합니다.
그 후에 새로 창을 열거나 새로고침을 하면 파일첨부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크롬창을 열고 상단의 주소 표시줄에 chrome://components를 입력한 뒤 엔터키를 누릅니다.
그 후에 Adobe Flash Player를 찾은 뒤에 업데이트 확인을 클릭하는데 '구성요소가 업데이트 되지않음, 구성요소가 업데이트 됨'이라고 표시가 된다면 최신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후에 다시 바로 위에 있는 플래시 허용의 단계를 거치면 됩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사용하기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추천해 드리고 싶은 방법이 바로 네이버의 웨일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설치 후 아주 깔끔하게 모든 문제가 해결이 됩니다.
웨일은 네이버에서 만든 브라우저의 이름인데 익스플로러나 크롬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네이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기능들이 몇가지 더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검색 후 다운로드 버튼을 누릅니다.
윈도우, 맥,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까지 요즘 한국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를 지원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네요.
저는 윈도우를 사용중이여서 다운로드 for Windows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받은 뒤에 설치하여 사용했습니다. 플래시 허용이라던가 창이 닫히는 경우들이 깔끔하게 해결이 됩니다.
그외 다양한 파일첨부 오류 및 해결방법
혹시 이창을 보셨다면 첨부하려고 하는 파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파일 첨부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다음은 1개의 파일이 10MB를 넘지 못하게 정하고 있기에 만일 사진처럼 35.1MB의 파일을 꼭 올리고 싶다면 알집으로 분할압축을 하여 총 3-4개의 파일을 올리는 방식으로 해야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