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삼성페이 많이들 사용하시죠? 저는 휴대폰을 여러개 사용 하고 있는데 삼성폰을 제외한 휴대폰들에는 페이기능이 없어서 아주 가끔 카카오페이를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물론 삼성페이처럼 모든 카드 결제 하는 곳에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가끔 할인 행사 할때, 편의점에 페이가 안되는 폰을 들고 갔을 때 가끔 사용하는데요. 예전에 분명 등록했던 것 같은데 이번에 재등록을 하게 되어서 겸사겸사 작성을 해봅니다.
먼저 카카오페이는 당연히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어야 하며 카드를 하나 등록하거나 카카오페이에 충전을 하는 식으로 사용을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 송금, 결제 부분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구요.
카카오페이 송금 받기 방법, 내 통장을 송금 하는 법, 충전 방법, 결제 방법 등 순서대로 가겠습니다.
카카오페이 송금받기
먼저 누군가가 카카오뱅크가 아니라 카카오페이로 보내게 되면 위와 같은 사진이 나오는데요. 받기 버튼을 누르면 뭔가 로딩이 되는 것 같은 표시가 잠시 뜨고 받기 완료라고 됩니다.
하단의 메뉴에서 가장 우측의 메뉴를 클릭하면 제가 빨간점으로 표시해둔 부분을 보면 카카오페이에 현재 10,000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클릭을 하면 카카오페이와 관련해서 좀 더 자세한 정보들을 볼 수 있는데요. 사실 카카페 혹은 카페라고 줄이고 싶은데 카페는 cafe가 있고, 카카페는 카카오페이지가 있어서 카카오페이는 이름 그대로 5글자를 보통 부르는 것 같습니다.
카카오페이 결제 방법
송금과 결제가 가장 크게 눈에 띄고 저는 현재 연결계좌가 1입니다.
연결계좌라는 것은 카카오페이에 돈이 없더라도 연결해놓은 계좌에서 어쩔때는 만원단위로, 어쩔때는 딱 맞게 빼서 페이로 결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가끔은 14,000원짜리를 주문하면 20,000을 충전하고 6,000원을 남길 때가 있고 어떤때는 14,000원을 주문하면 딱 14,000만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차이는 아직까지 잘 모르겠네요.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있으나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결제 화면은 캡쳐가 되지 않아서 제 휴대폰을 직접 찍었는데 내가 바코드나 qr코드를 찍어야 하는 경우는 화면 하단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면 됩니다.
만일 편의점, 롯데리아 같은 곳을 방문했다면 현제 결제 시작하기 밑에 확인 버튼을 눌러서 qr코드나 바코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요. 이용동의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기에 귀찮은 과정은 없습니다.
만일 바코드나 qr코드가 떠 있었다면 사진 올리기가 참 난감했을텐데 다행히 저런식으로 나와있네요.
카카오페이 송금 방법
아까 카카오페이의 화면에서 송금버튼을 누릅니다.
가장 위에 있는 사진처럼 제가 카톡으로 카카오페이를 받는 것은 송금에서 친구를 선택하고 보내는 것인데요.
친구를 선택하고 금액을 선택한 뒤 비밀번호를 입력 하면 카톡방에 송금이 되게 됩니다.
계좌번호의 경우에는 제가 카카오페이를 사용하고 잔액이 남을 때 다시 제 계좌로 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데 보통 은행 송금하듯이 다른 사람의 계좌로 보내는 것입니다.
현재까지는 계좌 송금하는 것이 10회까지 수수료가 없기에 사용하는데 불편함은 없지만 만약에 수수료가 생긴다면 연결계좌에서 딱 그 사용할 금액만 빠져 나가지 않는 이상에는 이용빈도가 확연히 줄어들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