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이 되면서 공무원 월급이 2.8% 오른다는 기사가 나왔는데요. 이 2.8%가 많은건지 적은건지 궁금하실텐데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6년간 인상률을 살펴보면 최저 1.7% 최대 3.8% 였으니 거의 딱 중간정도의 느낌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주변에 공무원을 하는 사람들이 몇명 있는데 확실히 경찰 공무원이 다른 일반행정직이나 검찰, 교사 등에 비해서 월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 같기는 합니다.
수당차이인지 아니면 기본급에서부터 차이가 나는건지 확인이 가능하겠네요.
경찰 공무원의 봉급표만 가져오려다가 사진 딱 한장으로 끝날 것 같아 다른 공무원들 호봉표도 같이 가져왔습니다.
계급, 직무, 등급 그리고 호봉으로 정리가 되어 있고 일반직, 소방, 경찰, 교사, 우정직(우체국), 지도직, 연구직, 공안업무, 전문경력관, 헌법연구관 및 헌법연구관보의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일반직공무원
뉴스에서 매해 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어간다고 하는데 아마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하는 것이 바로 일반직 공무원이 아닐까 합니다.
9급 1호봉 기준에 약 164만원 정도 되네요. 봉급표만 봐서는 164 x 12개월 하면 1968만원으로 2천만원도 채 안되서 공무원이 박봉이라는 얘기에 공감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수당이 빠져있는 기본급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면 어디에서 어떻게 일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1년을 일했을 때 각종 수당과 보너스를 다 합치면 1년 실수령액이 2,400만원이 넘는다고 하네요.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2020년 경찰 공무원 봉급표입니다. 이걸 찾아 들어오신 분들이 많으실텐데 소방과 경찰은 봉급표를 똑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순경 1호봉의 경우에 일반직공무원 9급 1호봉과 똑같지만 호봉이 올라갈 수록, 급수가 올라갈 수록 일반직공무원 보다는 더 많은 월급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야간 근무를 12시간 혹은 그 이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수당도 더 많이 나와서 경찰이 일반적으로는 일반직 공무원 보다 월급을 더 많이 받는 편입니다.
지구대로 발령을 받았을 경우에 여경의 경우 200초반, 남경의 경우 200초중반 정도를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남경이 좀 더 받는 이유는 남자는 군대에 있었던 기간이 호봉으로 포함이 되기에 사실상 3호봉부터 시작이라서 그렇습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교사)
교대, 사범대 혹은 교원대를 나오신 분들은 자연스럽게 임용시험을 보게 될텐데요. 임용시험 이후 합격하면 선생님이 되는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선생님들 모두가 같은 봉급표를 사용하고 있네요.
진급이 없기에 1호봉부터 40호봉까지만 나와있고 선생님들도 역시 수당이 붙는게 있기 때문에 학교에 가장 오래 있는 고등학교 선생님들이 초중학교 선생님들 보다는 월급이 조금 더 높은편입니다.
국립대학 교원
국립대학교의 교수님들의 봉급표는 1호봉부터 33호봉까지 나와 있으며 유치원~고등학교 선생님들에 비해서는 확실히 더 많은 금액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교수님들이 참 돈 쉽게 번다고 생각했을때도 있었는데 모든 일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정직 공무원
우정직이라고 하면 조금 어색한 분들이 계실 수도 있는데 우정본부 즉 우체국 공무원을 우정직 공무원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일반직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급수가 올라갈 수록 일반직에 비해서 월급이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네요. 하지만 역시 수당이 있고 주변에 4-5급 우정직 공무원에 계시는 분들을 보면 한달에 남부럽지 않은 월급을 받고 사시는 것을 봤습니다.
거기에 그정도 되는 분들은 공무원 연금도 많이 나오기에 노후 걱정은 전혀 할 필요가 없겠네요.
군인
군인은 장교와 부사관으로 나뉘며 사진 아래에 비고 부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부사관 전체가 아닌 하사, 중사, 상사만 따로 잘라서 밑에 사진을 붙였습니다.
같은 경력이라고 친다면 부사관 보다는 장교가 더 많은 월급을 받는것으로 보이긴 합니다만 장교의 경우에는 진급을 못해서 30대 혹은 40대에도 나와야 하는 경우가 많기에 장단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부사관이라고 무조건 100% 진급은 아닙니다만 부대에 잘 적응을 했다면 진급할 확률도 높다고 봐도 되겠죠.
군인도 어느 부대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냐에 따라서 수당이 달라지기에 봉급표는 어디까지나 계급과 호봉수에 따른 기본급을 정리해둔 월급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지도직 공무원
지도직은 지도관과 지도사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연구직 공무원
연구직은 연구관과 연구사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공안업무
공안업무의 경우 일반, 경찰, 소방과 같이 1~9급으로 나뉘어져 있는 호봉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문경력관
전문경력관은 가군 나군 다군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헌법연구관, 헌법연구관보
가장 마지막으로 헌법연구관, 헌법연구관보의 봉급표인데 1호봉부터 16호봉까지 있으며 여태까지 봤던 봉급표 중에서는 가장 높은 월급을 볼 수 있습니다.
16호봉 기준에 약 840만원의 월급이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