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형폐기물 스티커 가격은 얼마?
    잡학다식

    집에서 나와 독립을 하려고 준비를 하는데 기존에 집에 있던 2인용 책상과 15칸짜리 책장을 버려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책장은 먼지만 쌓일 것 같았고 책상은 너무 커서 컴퓨터를 놓고 쓰기에 적당한 사이즈로 하나 새로 장만을 하려고 생각을 했습니다.


    예전에는 어디 가서 스티커 사와서 붙여서 밖에다가 내놔야 하고 내놓는 것도 어디 위치가 정해져 있다는 얘기를 들어서 어떻게 들고 나가나 고민이 많았는데요.




    요즘에는 스티커 붙여서 버리는게 아니라 대형폐기물들에 대해서 인터넷에 신고를 하면 우리집까지 직접 와서 수거를 해간다고 합니다. 물론 수거하는데 있어서 일정 비용은 들지만 버리려고 대형 폐기물을 들고 나가는 것을 생각하면 충분히 지불할만한데다가 저는 생각보다 저렴하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지역별로 신고하는 방법이나 가격이 다르기에 전반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합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가격은 얼마?


    먼저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라고 검색을 하면 웹사이트 탭에 경기도 부천시, 용인시, 수원시, 평택시 등 다양한 도시들이 나오는데요. 각각의 시나 구마다 신고시스템을 따로 하고 있기에 이런식의 검색으로는 내가 살고 있는 곳을 찾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살고 있는 지역을 앞에 넣어서 검색하는 방식으로 찾았는데요. 부산시를 앞에 붙였더니 부산시에 있는 사상구청과 서구청의 대형폐기물 처리 신고 웹사이트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가능하다면 xx시 xx구 까지 입력을 하는 방식이라면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제가 기억나는대로 여러지역들을 검색해 본 결과 각각의 지자체에서 전부 다 따로 이런 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본인이 살고 있는 곳을 검색만 잘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 검색 또한 별로 다를 건 없는데요. 만일 네이버에서 찾지 못했다면 구글이나 다음 같은 다른 검색 사이트를 이용해서 찾아보거나 아니면 아예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웹사이트로 일단 들어가서 사이트에 있는 통합검색 부분에 대형폐기물 이라고 검색을 하시면 더 쉽게 찾으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전국적으로 시행중인 대형 가전제품 무료 수거 품목에 해당하지 않는 대형폐기물들은 이런식으로 지자체마다 따로 신고를 해야 하기에 검색을 따로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대형폐기물 처리하는 비용은 얼마?



    제가 검색한 지역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대충 엇비슷한 가격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대형폐기물이란 것의 정의부터 보면 원형이 훼손된 가구(침구)류, 사무용기자재 등 쓰레기 종량제 규격봉투에 넣어 배출 할 수 없는 폐기물을 대형폐기물들이라고 하는데요. 쉽게 생각해서 쓰레기 봉투에 넣어서 버리기엔 감당이 안되는 것들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처리방법은 주민센터에 배출 신고를 하면 주민센터와 연결되어 있는 업체로 연락이 가게 되고 업체가 우리 집으로 찾아와서 폐기물의 상태를 보고 수수료를 매기고 수거해 가는 방식입니다.


    만일 품목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대충 비슷한 사이즈와 종류를 찾아서 가격을 매긴다고 하네요.



    저는 단순히 책상과 책장을 버리려고 했는데 보통 이사를 가게 되면 버리는 것들은 침대, 피아노, 진열장 등이 되겠네요. 2인용 이상의 침대를 버리는데 17,000원이면 저는 괜찮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예전에는 주민센터 가서 스티커 사와서 그거 붙여가지고 수거하는 곳 까지 직접 가져갔어야 했는데 이제는 전화나 인터넷으로 신고만 하면 집까지 찾아와서 수거를 해가는 그 비용이 그렇게 비싸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특히나 세탁기, 냉장고 쯤 되는 가전제품이라면 정말 어떻게 버려야 할 지 감이 전혀 잡히지 않거든요.



    정말 폐기물의 종류가 다양하다고 느낀 것이 집에 있는 모든 물건들이 대형폐기물이 될 수 있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간판, 개집, 문짝, 병풍, 변기, 수족관, 재봉플, 장독, 장판에 이르기까지 저런 것들을 버리는 사람이 많다보니 품목과 처리수수료가 명시되어 있는 것이겠죠?


    대형폐기물을 버릴 때 집에 쓸모 없었던 것들을 한번에 버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게 이불, 자전거, 우산, 가방까지 버릴 수 있는 것들이 정말 많네요. 쓰레기 봉투에 들어가기 애매한 사이즈라면 아마 품목명에 적혀 있지 않아도 다 가능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앞에 혹시 무료수거에 관해서 언급한걸 보셨나요? 4대가전(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전기오븐렌지, 공기청정기, 데스크탑, 모니터 등 여러가지 품목에 관해서 전국을 기준으로 1599-0903으로 전화를 하면 폐가전 무상방문수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2019/11/18 - [잡학] - 대형 가전제품 무료 수거 서비스 이용 방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무료로 수거해가는 만큼 수거 날짜가 조금 길어질 수도 있고 수거하는 분이 쉽게 가져갈 수 있도록 미리 준비를 해야하고 품목들이 정해져 있긴 하지만 대형 품목이 있으면 휴대폰, 노트북, 믹서기 같이 대형이 아닌 가전도 수거를 해간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무료기 때문에 알아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여태까지의 내용이 부산시 수영구였다면 해당 사진은 사상구인데요.


    대형폐기물을 버리기 위해서 수거 신청을 하고 업체에서 와서 수수료를 지불하면 수거해가는 과정은 같으나 수수료 비용이 조금씩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딱 잘라 이건 버리는데 얼마입니다 라고 말할 수는 없고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말할 수 있네요.


    그리고 여기도 대형폐가전 무상수거에 관한 설명이 되어 있네요. 단, 원형이 훼손되었다면 무상수거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